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6일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이 부족하다는 한국 내 여론을 호전시키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겠느냐’는 한국 기자의 질문에 “양국이 연계해 하나하나 구체적 결과를 내고 싶다”며 즉답을 피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일본 정부로서는 지난 6일 발표된 한국 정부의 조치를 2018년 대법원 판결에 의해 어려운 상황에 있었던 한·일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질의응답은 양국 기자가 각각 한 번 질문하고 양국 정상이 대답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기시다 총리는 향후 방한 시점에 대해서는 “오늘 정상회담에서 윤 대통령과 저 사이에 셔틀외교 재개에 대해 의견이 일치했다”며 “앞으로 적절한 시기에 방한을 검토해나간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피해자 측의 구상권 행사 여부를 묻는 일본 기자의 질문에 “구상권이 행사된다고 한다면 이는 다시 모든 (강제징용) 문제를 원위치로 돌려놓는 것이기 때문에 구상권 행사라는 것은 판결 해법의 취지와 관련해 상정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강제징용 해법의 취지와 관련해 “그동안 한국 정부가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에 대해 해석해온 일관된 태도와 판결을 조화롭게 해서 한·일 관계를 정상화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기금에 의한 3자 변제안을 판결 해법으로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기시다 총리도 같은 질문에 대해 “윤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이번 한국의 재단이 판결금 등을 지급하기로 한 조치가 발표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회담 결과로 얻을 수 있는 국익으로 △북핵 미사일 관련 정보 공유 △반도체 등 첨단산업 협력 등 민간 교류를 꼽았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와 관련한 3개 수출 품목 규제 해제 조치가 발표됐는데, 양국의 산업 형태나 발전 방향에 비춰 보완할 부분이 많다”고 강조했다.

김인엽/도쿄=오형주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