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일본 외무성이 이날 발표했다. 러시아가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일본 총리의 우크라이나 방문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시다 총리는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리더십과 함께 우크라이나 국민의 용기와 인내에 경의를 표할 예정이다. 또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와 지원 의사도 직접 전달할 예정이다. 법치주의에 기초한 국제질서를 지켜내겠다는 결의도 다시 확인할 방침이다.

인도를 방문 중이던 기시다 총리는 애초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었으나 귀국하는 대신 전세기편으로 폴란드로 향했다.

일본 방송 NHK는 "기시다 총리가 일본 시간으로 오전 9시 반께 폴란드 프세미실에서 우크라이나로 향하는 열차에 오르는 모습을 기자가 확인했다"고 전했다.

일본은 올해 주요 7개국(G7) 의장국이다. 기시다 총리는 5월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정세가 중요한 의제가 될 것으로 보고 G7 정상회의 전까지 우크라이나와의 정상회담을 추진해 왔다.

한편 일본의 집권 자민당과 대만의 집권 민진당은 21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에서 제3차 안보대화를 진행한다고 대만 중앙통신사와 타이완뉴스 등이 보도했다.

자민당과 민진당 간 제3차 안보대화는 대만에 대한 중국의 군사적 압박이 강화되는 시점에서 이뤄지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두 나라 집권당 간 안보대화는 지금까지는 코로나19 때문에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안보대화에는 대만 민진당 측에서 로치청·궈궈원 입법위원이, 일본 자민당 측에서는 호리이 이와오 참의원과 고쿠바 고노스케 중의원이 각각 참여한다.

비공개 방식으로 이뤄지는 이번 제3차 안보대화에서는 일본의 안보전략, 대만의 국방개혁, 미국과 대만의 군사 협력 문제, 인도·태평양 및 대만해협 상황 등 대만을 둘러싼 안보 및 외교 문제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대만 중앙통신사는 전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