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10년차' 강승윤, 하늘 사진 촬영하는 이유는? [본캐부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수영의 본캐부캐]
스타들의 본캐와 부캐를 동시에 만나는 시간
위너 강승윤, 사진작가 '유연' 활동 본격화
첫 사진전 '하늘지붕' 열어
"높은 곳 향한 욕망 있어, 사진엔 무의식 반영"
"'아트테이너' 부담 있지만, 책임감 갖겠다"
스타들의 본캐와 부캐를 동시에 만나는 시간
위너 강승윤, 사진작가 '유연' 활동 본격화
첫 사진전 '하늘지붕' 열어
"높은 곳 향한 욕망 있어, 사진엔 무의식 반영"
"'아트테이너' 부담 있지만, 책임감 갖겠다"
대한민국 성인남녀 절반 이상이 '세컨드 잡'을 꿈꾸는 시대입니다. 많은 이들이 '부캐(부캐릭터)'를 희망하며 자기 계발에 열중하고 새로운 미래를 꿈꿉니다. 이럴 때 먼저 도전에 나선 이들의 경험담은 좋은 정보가 되곤 합니다. 본캐(본 캐릭터)와 부캐 두 마리 토끼를 잡았거나 본캐에서 벗어나 부캐로 변신에 성공한 스타들의 잡다(JOB多)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편집자주>

몇 년 새 대중문화 스타가 예술계에 뛰어드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아트테이너(art와 entertainer의 합성어)'라는 말이 생겨났다. 가수 솔비·헨리, 배우 박기웅·구혜선·하정우 등 많은 연예인이 그림으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강승윤이 사진작가의 길로 들어서는 데에도 앞서 화가로 활동을 시작한 위너 멤버 송민호(Ohnim)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그렇게 송민호를 따라 영국 미술품 컬렉터 데이비드와 세레넬라 시클리티라 부부가 2021년 주최한 '코리안 아이(KOREAN EYE): 창조성과 백일몽' 전시에 처음 출품했고, 지난해 '스타트아트페어 서울 2022'에서도 작품을 선보였다. 그다음 행보가 바로 4월 19일까지 성수동 스타트플러스 갤러리에서 여는 첫 개인전 '하늘지붕'이다.
강승윤은 "그간 직접 만든 결과물을 발표하는 순간이 많았는데 새로운 장르를 시작하는 거라고 생각하니 되게 떨린다. 개인전을 통해 내면에 있던 걸 더 보여드릴 수 있다는 생각에 설레기도 한다. 관객분들이 어떻게 봐주실지 궁금하고 설레고 걱정도 된다. 복합적인 감정이 든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사진은 색채감이 없는 흑백이었다. 이에 대해 강승윤은 "흑백사진이 궁금증을 자아낸다고 생각했다. 사진 속 이야기들이 내가 보여주고 싶은 것으로만 느껴지지 않길 바랐다. 날씨가 좋은지 아닌지도 알 수 없다. 상상력을 갖고 사진을 바라보면 조금 더 재미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시장에 흐르는 음악에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강승윤이 직접 만든 노래다. 그는 "전시의 내용을 집약시켜주는 음악이 함께 들리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만들었다. 밤을 새워가며 준비했다"면서 "사진과 연관성이 있는 가사들이다. 보는 재미, 듣는 재미 다 놓치지 않는 '하늘지붕'"이라며 미소 지었다.
!['아이돌 10년차' 강승윤, 하늘 사진 촬영하는 이유는? [본캐부캐]](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83694.1.jpg)
"물론 역량도 꾸준히 늘려서 많은 분이 인정할 수 있는 아티스트가 되기 위해 노력할 거예요. 부담감을 책임감으로 돌려서 멋진 활동을 해나가고 싶어요. 그게 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음악 작업을 할 때는 더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데 신경 썼다면, 사진에는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볼 수 있도록 전달하려는 시선이 들어간다고 했다. "사진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 더 착하고, 유연해요." 이는 작가명 '유연'과도 맞닿아 있는 지점이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