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vs 中 배터리 '고용량 전쟁'…CATL 1000㎞ 주행제품 양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엔솔은 중대형 배터리 4680
하반기 생산해 테슬라에 공급
IRA 규제 없는 유럽시장서 격돌
하반기 생산해 테슬라에 공급
IRA 규제 없는 유럽시장서 격돌
한국과 중국 배터리업계가 ‘고용량 배터리’ 전쟁에 돌입한다.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이 1000㎞ 주행이 가능한 ‘기린 배터리’ 양산을 시작한 데 이어 LG에너지솔루션은 올 하반기 중대형 원통형인 ‘4680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다.
26일 중국 매체인 더페이퍼에 따르면 CATL은 최근 대용량 배터리인 기린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갔다. 이 배터리는 중국 전기차업체인 지커의 전기 다목적차량(MPV) ‘지커 009’에 적용된다. 이 차량은 1회 충전 시 822㎞ 주행 가능하며, 현지에서 2분기부터 인도를 시작한다. 지커 외에도 리오토, 네타, 로터스, 아이토 등 중국 전기차업체들이 기린 배터리를 쓰겠다고 밝혔다.
CATL은 지난해 6월 기린 배터리를 공개하며 “4680 배터리보다 에너지 용량이 13% 많다”고 한국 업체들을 노골적으로 견제했다. 한국 배터리 3사가 잇따라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자, CATL이 한국 배터리의 강점을 허물기 위해 고용량 시장에 치고 들어왔다는 분석도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 하반기부터 한국 오창공장에서 4680 배터리를 양산해 테슬라에 납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 상반기 46파이(지름 46㎜)의 중대형 배터리 파일럿라인을 가동할 계획인 삼성SDI는 현재 다수의 고객사와 협력을 논의 중이다. 테슬라 밸류체인인 파나소닉은 내년에 4680을 생산할 계획이다. 먼저 기린 배터리를 만든 CATL이 연내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을 높이는 데 성공해 양산 안정화 단계에 들어간다면 한국 배터리로서는 치명적이다.
이 같은 대용량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보다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에너지 밀도당 생산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셀 개수가 줄어 공간 활용도가 높을 뿐 아니라 전기차 시스템이 관리해야 할 배터리 수가 적어 화재 위험을 개선할 수 있다. 고성능 배터리를 더 싼값에 대량 납품하게 돼 향후 배터리 점유율 싸움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된다.
대용량 배터리의 미래 전장은 한국 업체의 ‘텃밭’인 유럽 시장이 될 전망이다. 미국 시장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한국 업체가 과점한 반면 유럽 시장은 큰 규제 없이 열려 있는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 BMW뿐 아니라 수많은 완성차업체가 고용량 배터리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기 전까지는 4680 등 고용량 배터리가 시장 지배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26일 중국 매체인 더페이퍼에 따르면 CATL은 최근 대용량 배터리인 기린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갔다. 이 배터리는 중국 전기차업체인 지커의 전기 다목적차량(MPV) ‘지커 009’에 적용된다. 이 차량은 1회 충전 시 822㎞ 주행 가능하며, 현지에서 2분기부터 인도를 시작한다. 지커 외에도 리오토, 네타, 로터스, 아이토 등 중국 전기차업체들이 기린 배터리를 쓰겠다고 밝혔다.
CATL은 지난해 6월 기린 배터리를 공개하며 “4680 배터리보다 에너지 용량이 13% 많다”고 한국 업체들을 노골적으로 견제했다. 한국 배터리 3사가 잇따라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자, CATL이 한국 배터리의 강점을 허물기 위해 고용량 시장에 치고 들어왔다는 분석도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 하반기부터 한국 오창공장에서 4680 배터리를 양산해 테슬라에 납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 상반기 46파이(지름 46㎜)의 중대형 배터리 파일럿라인을 가동할 계획인 삼성SDI는 현재 다수의 고객사와 협력을 논의 중이다. 테슬라 밸류체인인 파나소닉은 내년에 4680을 생산할 계획이다. 먼저 기린 배터리를 만든 CATL이 연내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을 높이는 데 성공해 양산 안정화 단계에 들어간다면 한국 배터리로서는 치명적이다.
이 같은 대용량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보다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에너지 밀도당 생산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셀 개수가 줄어 공간 활용도가 높을 뿐 아니라 전기차 시스템이 관리해야 할 배터리 수가 적어 화재 위험을 개선할 수 있다. 고성능 배터리를 더 싼값에 대량 납품하게 돼 향후 배터리 점유율 싸움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된다.
대용량 배터리의 미래 전장은 한국 업체의 ‘텃밭’인 유럽 시장이 될 전망이다. 미국 시장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한국 업체가 과점한 반면 유럽 시장은 큰 규제 없이 열려 있는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 BMW뿐 아니라 수많은 완성차업체가 고용량 배터리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기 전까지는 4680 등 고용량 배터리가 시장 지배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