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보장에 전액 장학금"…이재용, '반도체 인재' 키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 3개 과학기술원과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2029년부터 전문 인력 연간 100명 신규 배출
이재용 회장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
2029년부터 전문 인력 연간 100명 신규 배출
이재용 회장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
삼성전자가 고질적인 반도체 인력 수급난을 해소하기 위해 지방 과학기술원과 손잡고 지역 반도체 인재 육성에 나선다. 전문 인재를 양성해 지역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나아가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학사와 석사를 통합한 반도체 계약학과 진학생은 반도체 전액 등록금과 장학금을 받을 수 있고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취업도 보장된다.
삼성전자는 27일 울산과기원(UNIST)·대구과기원(DGIST)·광주과기원(GIST)과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해 내년 3월부터 계약학과를 운영한다.
학사·석사 교육을 통합한 최초의 '학·석 통합 반도체 계약학과' 과정이며, 교육 기간은 총 5년이다. 선발 인원은 UNIST 40명, DGIST 30명, GIST 30명 등 연간 100명이다. 이를 통해 5년간 반도체 인재 총 500명을 양성할 방침이다.
3개 과학기술원은 이번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로 각 지역에서 반도체 전문가를 육성해 첨단 산업 현장에 배출하는 '지역 반도체 인재 양성 허브' 역할을 할 예정이다. 국내외 반도체 기업들과 우수 인재들의 수도권 쏠림을 완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의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 함께 성장하는 '인재 육성과 산업 성장의 선순환 체계'가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삼성전자는 기대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취임 후 줄곧 반도체 인재, 지역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이 회장은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더 과감하고, 더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하자"고 말했다.
신설되는 반도체 계약학과의 교육 과정은 반도체 공정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반도체 미세화 한계 돌파를 위한 반도체 공정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을 반영했다. 이번 계약학과 신설을 통해 삼성전자는 △설계 △소프트웨어(S/W) △공정 등 반도체 핵심 분야의 인재를 골고루 양성해 내는 체계를 구축했다.
과기원 3곳을 포함하면 삼성전자가 국내 대학과 운영하는 반도체 계약학과는 전국 7곳으로 늘어난다. 급증하는 반도체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06년 성균관대를 시작으로 연세대, KAIST, 포항공대와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해 왔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계약학과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등록금 전액을 부담하고,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졸업 후에는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취업을 보장한다.
매년 반도체 전문가 260명을 양성하던 기존 일부 계약학과도 정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3개 지역 과학기술원을 더하면 2029년부터는 매년 7개 반도체 계약학과에서 반도체 전문 인재 450명이 배출된다.
송재혁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번 계약학과 신설로 서울·대전·포항에 이어 대구·광주·울산에도 반도체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하게 됐다. 이는 반도체 강국이라는 위상에 걸맞는 인재를 지속 확보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은 반도체 계약학과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계약학과 △산학과제 지원 △박사 장학생 △지방 국립대 지원 △사내 설비를 활용한 대학 연구 인프라 지원 등에 매년 1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미래 인재 육성에 나서고 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학사와 석사를 통합한 반도체 계약학과 진학생은 반도체 전액 등록금과 장학금을 받을 수 있고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취업도 보장된다.
삼성전자는 27일 울산과기원(UNIST)·대구과기원(DGIST)·광주과기원(GIST)과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해 내년 3월부터 계약학과를 운영한다.
학사·석사 교육을 통합한 최초의 '학·석 통합 반도체 계약학과' 과정이며, 교육 기간은 총 5년이다. 선발 인원은 UNIST 40명, DGIST 30명, GIST 30명 등 연간 100명이다. 이를 통해 5년간 반도체 인재 총 500명을 양성할 방침이다.
3개 과학기술원은 이번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로 각 지역에서 반도체 전문가를 육성해 첨단 산업 현장에 배출하는 '지역 반도체 인재 양성 허브' 역할을 할 예정이다. 국내외 반도체 기업들과 우수 인재들의 수도권 쏠림을 완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의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 함께 성장하는 '인재 육성과 산업 성장의 선순환 체계'가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삼성전자는 기대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취임 후 줄곧 반도체 인재, 지역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이 회장은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더 과감하고, 더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하자"고 말했다.
신설되는 반도체 계약학과의 교육 과정은 반도체 공정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반도체 미세화 한계 돌파를 위한 반도체 공정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을 반영했다. 이번 계약학과 신설을 통해 삼성전자는 △설계 △소프트웨어(S/W) △공정 등 반도체 핵심 분야의 인재를 골고루 양성해 내는 체계를 구축했다.
과기원 3곳을 포함하면 삼성전자가 국내 대학과 운영하는 반도체 계약학과는 전국 7곳으로 늘어난다. 급증하는 반도체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06년 성균관대를 시작으로 연세대, KAIST, 포항공대와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해 왔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계약학과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등록금 전액을 부담하고,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졸업 후에는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취업을 보장한다.
매년 반도체 전문가 260명을 양성하던 기존 일부 계약학과도 정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3개 지역 과학기술원을 더하면 2029년부터는 매년 7개 반도체 계약학과에서 반도체 전문 인재 450명이 배출된다.
송재혁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번 계약학과 신설로 서울·대전·포항에 이어 대구·광주·울산에도 반도체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하게 됐다. 이는 반도체 강국이라는 위상에 걸맞는 인재를 지속 확보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은 반도체 계약학과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계약학과 △산학과제 지원 △박사 장학생 △지방 국립대 지원 △사내 설비를 활용한 대학 연구 인프라 지원 등에 매년 1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미래 인재 육성에 나서고 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