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국채금리가 오름세를 보인 가운데 혼조세를 보였다.

28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19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6.30포인트(0.30%) 오른 32,528.38을 기록 중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13포인트(0.00%) 하락한 3,977.40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45.46포인트(0.39%) 떨어진 11,723.38을 나타냈다.

투자자들은 은행 부문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국채금리 움직임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은행 위기가 진정되면서 연준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커졌다.

연준 위원들은 3월 회의에서 올해 최종금리 예상치를 5.1%로 제시했다.

이는 금리 범위로 보면 5.00%~5.25%로 현 수준보다 0.2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 신용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라 추가로 금리를 올리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금리 선물시장에서는 5월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을 반반 정도로 보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은행 위기가 진정되면서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10년물 국채금리는 3.55% 수준까지 올라섰고, 2년물 국채금리는 4%를 넘어섰다.

둘 다 지난 22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은행 위기는 당국의 빠른 조치로 안정세를 찾았다.

마이클 바 연준 금융 감독 부문 부의장은 전날 상원 은행 위원회 청문회 출석을 앞두고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은 잘못된 경영의 전형적 사례"라며 "미국 은행시스템은 건전하고, 탄력적이며, 강한 자본과 유동성을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

바 부의장은 이날 청문회에 출석해 최근의 은행 파산과 이에 대한 연방 당국의 대응을 설명하고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할 예정이다.

미국의 주택 가격은 금리 상승으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집계한 올해 1월 계절 조정 전미 주택가격지수는 전월보다 0.2% 하락해 7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전년 대비로는 3.8% 올라 전달 상승률 5.6%보다 둔화했다.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도 전월보다 0.4% 하락해 7개월 연속 하락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5% 올랐으나 전달의 4.6% 상승에서 크게 둔화했다.

S&P500 지수 내 기술, 통신 관련주가 하락하고, 에너지, 산업, 유틸리티 관련주는 올랐다.

리프트의 주가는 경영진 교체 소식에 2% 이상 올랐다.

한동안 제2의 실리콘밸리은행(SVB)으로 불리며 시장의 공격 대상이 됐던 퍼스트 리퍼블릭의 주가는 1%가량 이상 오르고 있다.

월그린스 부츠 얼라어언스 주가는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2% 이상 올랐다.

알리바바는 6개 그룹으로 분리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뉴욕에 상장된 주가는 7% 이상 올랐다.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주가는 최대 주주 워런 버핏이 회사의 주식을 계속 매입하고, TD코웬이 투자 의견을 상향했다는 소식에 2% 이상 오르고 있다.

뉴욕 증시 전문가들은 그동안 타격을 입은 은행주가 반등하고, 시장을 이끌어온 기술주가 조정을 받고 있지만 이는 추세의 전환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트루이스트의 기스 러너 공동 투자 책임자는 CNBC에 "기본적으로 과매도에 시달린 영역에서는 반등을 보고 있으며, 주도주였던 부문에서는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이라고 말했다.

러너는 "나는 이것이 추세의 반전이거나, 주도주의 변화라고 보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유럽증시는 대체로 보합권에서 거래됐다.

독일 DAX지수는 0.12% 올랐고, 영국 FTSE지수는 0.20% 상승했다.

프랑스 CAC 지수는 0.12% 상승했고, 범유럽지수인 STOXX600 지수는 약보합권에서 움직였다.

국제유가는 오름세를 보였다.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73% 오른 배럴당 73.34달러에, 5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보다 0.72% 상승한 배럴당 78.56달러를 기록했다.

뉴욕증시, 국채금리 상승 속에 혼조세로 출발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