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제주연구원 제주 미래 위한 고도관리 방안 토론회

제주가 새로운 도시 트렌드를 반영하는 도시계획 체계로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새로운 도시 트렌드 반영해 제주 도시계획 개편해야"
28일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제주도의회·제주연구원 공동 주최로 열린 '제주 미래를 위한 고도관리 방안' 토론회에서 제주연구원 이성용 선임연구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도가 중소도시이기는 하지만 대도시가 가진 난개발과 지가 상승 등 여러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같이 말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고도지구에 대한 부분을 조심스럽게 개편·보완하고, 민간의 개발 수요가 있을 때 지구단위계획으로 돌려 민간의 창의적인 생각과 민간의 재원을 이용해 제주에 필요한 도시관리를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도시계획 제도상 용도지역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용도지역은 한 공간의 기능이 중복되지 않도록 땅의 용도를 정해 건물의 높이와 용적률 등을 규제하는 제도다.

이 선임연구원은 "최근 개발수요로 인해 급속히 변화하는 제주의 특성상 용도지역제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도시계획수립 대상 지역 일부에 대해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하는 '지구단위계획'으로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미래 도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창조적인 도시 경관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규제 개선이라든지 완화 등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고도 완화를 위한 개정에 앞서 공공성과 경관확보를 위한 계획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기존의 고도지구를 기반으로 단순히 높이 규제보다는 밀도 위주로 관리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일률적인 고도 완화가 아닌 개발이익의 정의 기준 등을 정하고, 개발이익에 상응하는 공공기여 방안을 마련해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30여년간 제주의 고도지구가 일정한 스카이라인을 지켜오는 등 도시관리에 있어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앞으로 미래 도시에 있어 건축자 입장에서 제대로 된 합리적인 건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주변에 사는 사람들에게 삶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도시계획의 점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