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소기업의 77%가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수출, 기술교류 등 경제교류가 확대되길 희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23%는 소재·부품 국산화, 디지털화 미비 등으로 교류 확대 필요성이 낮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304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한·일 경제협력 인식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9일 밝혔다. 중소기업 10곳 중 8곳(76.6%)은 지난 16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본과의 경제교류를 확대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경제 교류 활성화 기대 분야(복수응답)로는 수출확대(84.1%)가 가장 많았고 인적·기술교류 확대(14.6%), 통관 등 물류 원활화(12.9%), 소재·부품·장비 수입 원활화(11.2%) 등 순이었다.

반면 23.4%는 "교류를 확대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교류 확대를 주저하는 이유로는 '일본 시장 매력도 저하'가 39.4%, '소재·부품·원자재 등 국산화 완료'가 19.7%를 차지했다. 이어 '통관절차 등 복잡' 7.0%, '업무 디지털화 미비' 4.2%, '한국 브랜드 평판 악화' 2.8% 등이 뒤를 이었다.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애로사항이 있었다는 기업은 45.6%, 없었다는 기업은 54.4%를 차지했다. 애로사항은 수출감소(21.4%), 통관지연 등 물류차질(9.8%), 소재·부품·장비 수급 차질(7.0%), 기술·인적교류 축소(6.8%) 등이었다. 반면 없었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어선 것은 수출입 분야가 골고루 분산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3년 현재 중소기업의 대일 수출분야는 소재·부품 34.5%, 기계장비 29.2%, 문구·생활용품 16.4% 등 순서였다. 수입 분야는 소재·부품 비중이 절반이상인 56.9%를 차지했고 기계장비 21.6%, 문구·생활용품 9.8% 등 순이었다. 중소기업계는 일본과 경제교류 확대를 위한 정부의 지원책으로 '판로개척 지원'(65.5%), '업종별 교류 확대'(34.5%)을 꼽았고 원천기술 협력과 디지털 콘텐츠 분야 협력도 각각 8.9%를 차지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한국의 소부장 중소기업들은 일본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원천기술을 필요로 하고 한국에도 ICT 등 첨단기술을 가진 중소기업들이 많은 만큼 서로의 장점을 필요로 한다"며 "한·일 양국 기업간에 활발한 기술·인적교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