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라밸과 동료관계 중요"…한국 직장인 2명 중 1명 이직 시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직장생활시 워라밸과 동료 관계, 표현의 자유 등이 보장됐을 때 이직 시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가 지난해 한국 직장인 5만7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블라인드 지수 2022' 설문조사 결과를 30일 밝혔다. 해당 분석은 대한민국 직장인의 이직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된 것으로, 이직을 희망하는 비율이 아닌 이직을 실제로 시도한 경험이 있는 직장인들의 비율을 측정했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 2명 중 1명(51%)이 지난해 이직을 시도했다. 연차별로 보면 사원급(1년 이상 5년 미만)의 이직 시도율이 55%로 가장 높았고, 부장급(14년 이상)의 경우 시도율이 눈에 띄게 낮았다. 신입급(1년 미만)의 49%, 대리급(5년 이상 9년 미만)의 54%, 과장급(9년 이상 14년 미만)의 48%, 부장·임원급(14년 이상)의 37%가 지난해 이직 활동에 뛰어들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이 58%로 가장 높았다. 그밖에 100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50%, 50인 이상 1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과 10인 이상 5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각각 54%, 1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47%로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생산직(생산관리 포함)의 이직 시도율이 63%로 가장 높았다. 반면 항공 서비스직(운항 포함)은 37%의 이직 시도율을 보여 직군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 업계별로는 가구 및 인테리어 업계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59%로 가장 높았으며 공기업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미미했다.
지난해 재직자들의 이직 시도율이 낮은 기업들의 공통점을 분석해 보니 워라밸, 동료 관계, 표현의 자유의 3가지 요인의 만족도가 높게 드러났다. 워라밸은 회사를 다니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 동료 관계는 동료들에게 충분한 업무 지원을 받고 있는지, 표현의 자유는 회사에서 어떤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이정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과 노성철 일본 사이타마 대학교 교수는 “이번 조사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인재 이탈을 막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두려움 없이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재직자의 이직 선택에 대한 방지턱 역할을 한다"라고 설명했다.
전유정 블라인드 경력직 채용 플랫폼 블라인드 하이어 사업총괄은 "경력직들은 이직 시 연봉만큼이나 기업 문화를 크게 고려한다. 이에 따라 스타트업은 물론 대기업까지 수평적인 기업 문화 조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직급과 관계없이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구성원 간 자유롭게 소통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인재 확보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가 지난해 한국 직장인 5만7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블라인드 지수 2022' 설문조사 결과를 30일 밝혔다. 해당 분석은 대한민국 직장인의 이직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된 것으로, 이직을 희망하는 비율이 아닌 이직을 실제로 시도한 경험이 있는 직장인들의 비율을 측정했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 2명 중 1명(51%)이 지난해 이직을 시도했다. 연차별로 보면 사원급(1년 이상 5년 미만)의 이직 시도율이 55%로 가장 높았고, 부장급(14년 이상)의 경우 시도율이 눈에 띄게 낮았다. 신입급(1년 미만)의 49%, 대리급(5년 이상 9년 미만)의 54%, 과장급(9년 이상 14년 미만)의 48%, 부장·임원급(14년 이상)의 37%가 지난해 이직 활동에 뛰어들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이 58%로 가장 높았다. 그밖에 100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50%, 50인 이상 1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과 10인 이상 5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각각 54%, 1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47%로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생산직(생산관리 포함)의 이직 시도율이 63%로 가장 높았다. 반면 항공 서비스직(운항 포함)은 37%의 이직 시도율을 보여 직군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 업계별로는 가구 및 인테리어 업계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59%로 가장 높았으며 공기업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미미했다.
지난해 재직자들의 이직 시도율이 낮은 기업들의 공통점을 분석해 보니 워라밸, 동료 관계, 표현의 자유의 3가지 요인의 만족도가 높게 드러났다. 워라밸은 회사를 다니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 동료 관계는 동료들에게 충분한 업무 지원을 받고 있는지, 표현의 자유는 회사에서 어떤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이정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과 노성철 일본 사이타마 대학교 교수는 “이번 조사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인재 이탈을 막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두려움 없이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재직자의 이직 선택에 대한 방지턱 역할을 한다"라고 설명했다.
전유정 블라인드 경력직 채용 플랫폼 블라인드 하이어 사업총괄은 "경력직들은 이직 시 연봉만큼이나 기업 문화를 크게 고려한다. 이에 따라 스타트업은 물론 대기업까지 수평적인 기업 문화 조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직급과 관계없이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구성원 간 자유롭게 소통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인재 확보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