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서 야생 치타 새끼 4마리 출산…멸종 70년 만에 '경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도에서 최근 새끼 치타 4마리가 탄생했다. 야생 치타가 멸종된 지 약 70년 만이다.
30일(현지시간) 힌두스탄타임스 등 인도 매체는 지난해 9월 아프리카 나미비아에서 인도 중부 마디아프라데시주 쿠노 국립공원으로 공수된 야생 치타 8마리 중 암컷 한 마리가 최근 새끼 4마리를 낳았다고 보도했다.
JS 차우한 마디아프라데시주 삼림보호국장은 "암컷 한 마리가 5일간 보이지 않아 암컷 몸에 부착된 무선 송신기로 위치를 추적했다. 이후 서식처에서 새끼 4마리와 함께 있는 암컷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인도에서 치타 멸종이 공식 선언된 1952년 이후 야생에서 새끼가 태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펜데르 야다브 인도 환경·삼림·기후변화부 장관은 전날 자신의 트위터에 치타 새끼들의 사진과 영상을 올리면서 "인도의 야생동물 보호 역사에서 중대한 순간"이라고 썼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도 이 소식을 리트윗하면서 "멋진 뉴스"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9월에 이어 지난 2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야생 치타 12마리를 더 들여왔고, 이 치타들의 서식처도 쿠노 국립공원에 마련됐다.
쿠노 국립공원은 인도의 대표적 야생동물 보호지역으로 면적이 750㎢로 서울(605㎢)보다 넓어 최고 시속 113㎞로 달릴 수 있는 치타가 먹이 사냥하며 생활하기에 안성맞춤이라고 매체는 전했다.
아프리카에서 온 총 20마리의 야생 치타 중 나미비아에서 온 한 마리는 최근 죽었지만, 나머지는 대체로 순조롭게 적응하는 상황으로 알려졌으며 나미비아에 온 다른 암컷 한 마리도 현재 새끼를 가진 상태다.
동물전문가인 YV 잘라는 "치타는 스트레스가 없는 환경에서만 짝짓기한다. 새끼 4마리가 태어났다는 것은 치타들이 쿠노 국립공원에서 편하게 적응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인도에서는 한때 치타가 야생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지만 서식지 감소와 남획 등으로 멸종됐다.
인도 정부는 치타 멸종 후 생태계 복원을 위해 꾸준히 노력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하다가 수년 전부터 치타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30일(현지시간) 힌두스탄타임스 등 인도 매체는 지난해 9월 아프리카 나미비아에서 인도 중부 마디아프라데시주 쿠노 국립공원으로 공수된 야생 치타 8마리 중 암컷 한 마리가 최근 새끼 4마리를 낳았다고 보도했다.
JS 차우한 마디아프라데시주 삼림보호국장은 "암컷 한 마리가 5일간 보이지 않아 암컷 몸에 부착된 무선 송신기로 위치를 추적했다. 이후 서식처에서 새끼 4마리와 함께 있는 암컷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인도에서 치타 멸종이 공식 선언된 1952년 이후 야생에서 새끼가 태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펜데르 야다브 인도 환경·삼림·기후변화부 장관은 전날 자신의 트위터에 치타 새끼들의 사진과 영상을 올리면서 "인도의 야생동물 보호 역사에서 중대한 순간"이라고 썼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도 이 소식을 리트윗하면서 "멋진 뉴스"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9월에 이어 지난 2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야생 치타 12마리를 더 들여왔고, 이 치타들의 서식처도 쿠노 국립공원에 마련됐다.
쿠노 국립공원은 인도의 대표적 야생동물 보호지역으로 면적이 750㎢로 서울(605㎢)보다 넓어 최고 시속 113㎞로 달릴 수 있는 치타가 먹이 사냥하며 생활하기에 안성맞춤이라고 매체는 전했다.
아프리카에서 온 총 20마리의 야생 치타 중 나미비아에서 온 한 마리는 최근 죽었지만, 나머지는 대체로 순조롭게 적응하는 상황으로 알려졌으며 나미비아에 온 다른 암컷 한 마리도 현재 새끼를 가진 상태다.
동물전문가인 YV 잘라는 "치타는 스트레스가 없는 환경에서만 짝짓기한다. 새끼 4마리가 태어났다는 것은 치타들이 쿠노 국립공원에서 편하게 적응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인도에서는 한때 치타가 야생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지만 서식지 감소와 남획 등으로 멸종됐다.
인도 정부는 치타 멸종 후 생태계 복원을 위해 꾸준히 노력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하다가 수년 전부터 치타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