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마이크로바이옴 지원사업, 4000억원 규모로 예타 재도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등 6개 정부부처가 마이크로바이옴(장내 미생물) 기술 개발사업 지원에 나선다. 지난해는 치료제, 건강기능식품, 농축수산업 등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범위를 너무 넓게 잡아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을 넘지 못했지만 올해는 ‘인체’로 한정해 재도전할 계획이다.
4일 김형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프로그램 디렉터(PD)는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세미나에서 “인체질환 극복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사업이라는 이름의 신규사업을 기획 중”이라며 “2025년부터 2032년간 4000억원의 예산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생태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참여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 6곳이다.
신규 사업구조는 크게 △데이터 구축 △전임상 기반 원천기술 개발 △임상 및 제품화 연구로 나뉜다. 임상·전임상 시료와 관련된 데이터를 구축하고, 마이크로바이옴 기전을 명확히 규명해 유용성분 및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며, 실제 치료제 및 진단기술 개발까지 상호연계하겠다는 취지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는 바이오 분야 국가 연구개발(R&D)사업과 과제를 기획하고 정책을 발굴하는 전문가를 뜻한다. 김형철 PD는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은 제2의 유전체라 불린다”며 “감염질환, 대사질환, 암, 면역, 호흡기, 피부건강, 노화까지 관련있다고 알려진 만큼 사실상 만병통치약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규 사업은 특히 제조공정과 관련된 부분에 특화시켜 지원할 생각”이라며 “동물실험 등 전임상 체계 구축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뿐 아니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8개 정부부처가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라는 제목의 1조1000억원 규모 사업을 추진했지만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범위가 지나치게 넓었다는 평가를 반영해 올해는 보다 세분화된 사업구조를 세웠다는 것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측 설명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이란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뜻한다. 사람의 장 안에는 약 1000종류의 미생물이 살고 있는데 이러한 생태계 균형이 깨지면 사람이 질병에 걸리게 된다는 것이 마이크롬바이옴 산업의 근간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이달 26일 안에 세계 최초의 경구용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승인여부를 결정할 계획인 만큼 관련업계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 참여한 송영진 산업통상자원부 과장은 “인체기반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활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며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 임상계획 수립, 규제 환경이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범부처 대규모 마이크로바이옴 예타사업을 준비 중”이라며 “선진국과 국내 기업들간 격차를 좁히고 마이크로바이옴이 새로운 신성장 사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4일 김형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프로그램 디렉터(PD)는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세미나에서 “인체질환 극복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사업이라는 이름의 신규사업을 기획 중”이라며 “2025년부터 2032년간 4000억원의 예산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생태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참여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 6곳이다.
신규 사업구조는 크게 △데이터 구축 △전임상 기반 원천기술 개발 △임상 및 제품화 연구로 나뉜다. 임상·전임상 시료와 관련된 데이터를 구축하고, 마이크로바이옴 기전을 명확히 규명해 유용성분 및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며, 실제 치료제 및 진단기술 개발까지 상호연계하겠다는 취지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는 바이오 분야 국가 연구개발(R&D)사업과 과제를 기획하고 정책을 발굴하는 전문가를 뜻한다. 김형철 PD는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은 제2의 유전체라 불린다”며 “감염질환, 대사질환, 암, 면역, 호흡기, 피부건강, 노화까지 관련있다고 알려진 만큼 사실상 만병통치약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규 사업은 특히 제조공정과 관련된 부분에 특화시켜 지원할 생각”이라며 “동물실험 등 전임상 체계 구축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뿐 아니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8개 정부부처가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라는 제목의 1조1000억원 규모 사업을 추진했지만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범위가 지나치게 넓었다는 평가를 반영해 올해는 보다 세분화된 사업구조를 세웠다는 것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측 설명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이란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뜻한다. 사람의 장 안에는 약 1000종류의 미생물이 살고 있는데 이러한 생태계 균형이 깨지면 사람이 질병에 걸리게 된다는 것이 마이크롬바이옴 산업의 근간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이달 26일 안에 세계 최초의 경구용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승인여부를 결정할 계획인 만큼 관련업계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 참여한 송영진 산업통상자원부 과장은 “인체기반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활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며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 임상계획 수립, 규제 환경이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범부처 대규모 마이크로바이옴 예타사업을 준비 중”이라며 “선진국과 국내 기업들간 격차를 좁히고 마이크로바이옴이 새로운 신성장 사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