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연속 인사평가 최하' 이유로 해고…법원 "부당해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 CHO Insight

서울행정법원 제11부는 최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청구한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 취소 소송에서 이같이 판단하고 원고 원자력연구원의 판단을 기각했다.
정년연장연구원이란 우수한 연구 성과나 공적이 있는 직원은 임용절차를 거쳐 65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다만 임용 이후 인사평가에서 2019년과 2020년 연속으로 최하위등급인 D를 맞게 됐고, 결국 해임돼 면직 통보를 받게 됐다.
A는 이에 대해 노동위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냈고, 중노위가 인사평가의 객관성이 의심된다며 구제신청을 인용하자 연구원이 중노위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법원은 A의 손을 들어줬다. A가 해고 사유에 해당한다고 보기에는 객관성이 의심스럽다는 판단이다.
이어 "A는 정년연장 연구원에 선발될 정도로 우수한 성과가 있었고, 2008년부터 성과가 좋았음을 회사도 인정했다"며 "비록 2년간 D등급을 받았어도, 이를 두고 해고에 이를 정도로 장기간 근무성적이 낮았던 것으로 보기도 어렵다"고도 지적했다.
되레 연구원이 정부 예산 감소를 이유로 A를 연구 과제 참여에서 배제하는 등 근무성적 개선 기회를 갖지 못한 점도 문제라고 봤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