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4% 초반까지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산유국들의 기습적인 감산으로 유가가 오르고 있는 데다, 공공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까지 겹치면서, 앞으로 물가 움직임을 예단할 수 없게 됐습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 4.2%.

두 달 연속 4%대로 지난해 3월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물가는 지난해 7월 6.3%를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데,

공공 요금 동결 등을 고려할 때 이번 달에는 3%대로 내려올 것이란 예측이 나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의 체감 온도는 춥습니다.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 요금이 지난해와 비교해 28.4% 올랐고 신선 식품 지수도 7.3%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 이수연(34) : (물가 하락) 체감이 안됩니다. 장 보러 가도 그렇고 아기 용품을 사게 되는데, 저렴하다는 생각이 안 드니까 (물가 불안을) 느낍니다. ]

[ 이진수(35) : 금리를 생각하더라도 과도하게 (물가가) 오른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러다 보니까 밖에서 지출할 수 있는 부분들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 ]

실제로도 변수가 많아 당장 물가가 잡히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에 힘이 실립니다.

물가 안정을 이끌었던 유가가 다시 출렁이면서 불안감을 키우고 있는 게 눈에 띕니다.

오펙 플러스(OPEC+) 회원국들이 자발적 감산을 결정해 유가가 90달러 수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전규연 / 하나증권 선임연구원 : 유가 자체 레벨이 오르는 그런 모습이 나타나게 될 것으로 봅니다. 그렇게 되면 지금 물가 중에 상품 물가 쪽에서 영향을 받게 될 텐데 하락 폭이 조금 제한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

여기에 공공 기관 적자로 정부가 요금 인상을 계속해서 미룰 수 없다는 점도 부담입니다.

또 한미 금리 차가 1.5%포인트(p)로 22년 만에 최대로 벌어진 가운데,

외국인 자금 유출에 따른 환율 상승이 수입 물가 등을 끌어 올릴 수 있단 분석이 제기되면서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을 벌여온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 이성근, 영상편집 : 이가인, CG : 손지영


이민재기자 tobemj@wowtv.co.kr
물가 4%대라지만…원유 감산에 '체감 보단 한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