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모로코서 수산화리튬 확보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업체와 현지 생산 추진
美 IRA 맞추려 공급망 다변화
美 IRA 맞추려 공급망 다변화
LG에너지솔루션이 아프리카 모로코에서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 확보에 나선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연합(EU) 핵심원자재법(CRMA) 등으로 ‘탈(脫)중국’이 시급해지면서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배터리 업계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리튬화합물 제조업체인 야화와 아프리카 모로코 지역에서 수산화리튬을 생산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5일 발표했다. 글로벌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 가운데 아프리카에서 배터리 광물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은 LG에너지솔루션이 처음이다.
업계 관계자는 “야화와 모로코에 수산화리튬 생산 공장을 합작 설립하는 것을 포함해 다양한 협력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잠정적으로 2025년부터는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이 수입하는 수산화리튬의 84%는 중국산이다. 미국 재무부가 2025년부터 중국 등 ‘우려 대상 외국 법인’에서 배터리 핵심 광물을 조달하면 IRA상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도록 규정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공급망 다변화에 한창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EU와 모두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는 모로코에 주목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야화는 중국 업체지만 IRA 세부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공정을 설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리튬화합물 제조업체인 야화와 아프리카 모로코 지역에서 수산화리튬을 생산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5일 발표했다. 글로벌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 가운데 아프리카에서 배터리 광물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은 LG에너지솔루션이 처음이다.
업계 관계자는 “야화와 모로코에 수산화리튬 생산 공장을 합작 설립하는 것을 포함해 다양한 협력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잠정적으로 2025년부터는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이 수입하는 수산화리튬의 84%는 중국산이다. 미국 재무부가 2025년부터 중국 등 ‘우려 대상 외국 법인’에서 배터리 핵심 광물을 조달하면 IRA상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도록 규정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공급망 다변화에 한창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EU와 모두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는 모로코에 주목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야화는 중국 업체지만 IRA 세부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공정을 설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