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 찬성 측 '아친' 원강수 원주시장과 면담…시정토론 재청구
현안 브리핑 예정했다가 추후로 변경한 원주시, 수용 여부 고심
원주 아카데미극장 시정토론 수용 여부…찬반 갈등 최대 분수령
60년 된 단관극장인 원주 아카데미극장 활용 방안을 둘러싼 원주시의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보존·재생을 원하는 시민사회단체가 시정정책토론을 재청구하고 나서 성사될지 주목받는다.

아카데미극장 보존·재생을 주장하는 '아카데미의 친구들'(이하 아친)은 10일 원강수 원주시장과의 면담 자리에서 시정정책토론 청구를 받아들여 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아친은 지난 달 7일 '원주시 주민참여 등에 관한 기본조례'를 근거로 도내에서는 처음으로 원주시에 시정토론을 청구했다.

그러나 250여명의 청구자 주민등록번호와 등록기준지 주소 등의 보완 요청 갈등 속에 정작 아카데미극장 활용 방안 논의는 한발짝도 진전하지 못한 채 찬반 대립만격화됐다.

원주시는 애초 이날 오전 11시 아카데미극장 활용 방안과 관련한 현안 브리핑을 열고 추진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원주 아카데미극장 시정토론 수용 여부…찬반 갈등 최대 분수령
다만 발표에 앞서 보존·재생을 요구하는 아친 측의 입장을 듣기 위한 간담회를 제안했고, 아친 측이 이를 받아들여 이날 시장과의 면담이 열린 것이어서 관련 현안 브리핑은 추후로 미뤄졌다.

결국 지역사회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해 아카데미 활용 방안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는 게 원 시장의 입장이어서 시정정책 토론의 성사 여부가 아카데미극장 운명을 둘러싼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일단 비공개로 진행한 아친과의 이날 면담에서 원 시장은 시정토론 청구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져 급박하게 돌아가던 아카데미극장 활동 방안은 한동안 숨 고르기에 돌입했다.

이날 원 시장과의 면담 이후 아친은 성명을 내고 "극장 보존을 위한 의견이 엇갈리며 시민 간의 대립은 고조되고 있다"며 "갈등의 핵심은 '아카데미극장이 원도심 활성화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의견차"라고 주장했다.

이어 "짙어지는 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전문가들이 모여 공개적으로 토론하고 여론조사를 통해 극장 보존에 관한 결론을 내려야 한다"며 "오늘 만남이 내부 재검토의 끝이 아니라 공개적인 시정토론의 시작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원주 아카데미극장 시정토론 수용 여부…찬반 갈등 최대 분수령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