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치솟고 미분양 공포 확산…일단 공급 늦추고 보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얼어붙은 주택 시장
자금시장 경색 등 악재 겹쳐
언제 해소될지도 미지수
견본주택까지 마련했다가
분양 전격 연기하는 곳도
서울·경북 등 일부 지역은
공급물량 이미 적정 수준 미달
3~4년 뒤 '입주 공백' 우려
자금시장 경색 등 악재 겹쳐
언제 해소될지도 미지수
견본주택까지 마련했다가
분양 전격 연기하는 곳도
서울·경북 등 일부 지역은
공급물량 이미 적정 수준 미달
3~4년 뒤 '입주 공백' 우려
GS건설은 당초 지난달 경기 파주에 988가구 규모의 ‘운정자이 시그니처’를 공급할 예정이었으나 이달 이후로 전격 연기했다. 견본주택까지 마련했지만 시장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서다. 현대건설도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조합원 물량을 제외하고 이달 예정됐던 물량을 다음달 이후로 연기하기로 했다. 한 대형 건설사 마케팅 임원은 “사업 리스크(위험요인)가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아 하반기에도 실제 공급에 나설지 미지수”라고 말했다.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주택 ‘공급 포비아(공포증)’가 확산하고 있다. 자금시장 경색에 공사비 책정을 둘러싼 조합과의 갈등, 미분양 급증 등 악재가 잇따르고 있어서다.
2분기 이후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10대 건설사의 2분기 주택 공급 계획은 1만9937가구로, 3만 가구에 육박하던 지난해 같은 기간(2만9168가구)보다 31.65%(9231가구) 줄어들 전망이다. 당장 이달 주택 공급에 나서는 건설사는 세 곳에 불과하다. 대형 건설사 분양 팀장은 “여러 건설사가 컨소시엄으로 들어가는 단지를 빼면 가급적 올 7월 이후로 공급을 미루자는 게 업계 분위기”라며 “공사비 급등으로 수익성을 맞추기 어려운 데다 특정 단지에서 미분양이 발생하면 향후 사업에 차질이 생기고 조달 시장에서 악재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지방 분양팀장은 “전국 미분양 주택 수가 7만5000가구를 넘는 등 10년 만에 최악을 기록한 데다 최근 들어선 시멘트·철근 등 건설자재 수급 불안까지 겹쳤다”며 “현장 곳곳에선 자재 가격 인상에 따른 공사비 증액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공급에 손 놓는 건설사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인 인허가·착공 실적은 평년 대비 20% 이상 줄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2월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5만4375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7만128가구)에 비해 22.5% 감소했다. 전국 주택 착공 물량(지난 1~2월 누적 기준)도 3만1955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4만4352가구) 대비 28% 줄었다. 인허가 물량이나 착공 면적이 줄면 3~4년 뒤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해 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미분양 급증에 가려진 주택 공급 이슈가 3년 후 불거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분양 실적은 결국 입주 물량과 직결된다”며 “분양 물량이 급격하게 위축되면 3년 뒤 ‘입주 공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김은정/이인혁 기자 kej@hankyung.com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주택 ‘공급 포비아(공포증)’가 확산하고 있다. 자금시장 경색에 공사비 책정을 둘러싼 조합과의 갈등, 미분양 급증 등 악재가 잇따르고 있어서다.
“가급적 하반기로 분양 미루자”
10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 건설사들이 당초 상반기로 잡은 아파트 분양을 하반기로 늦추고 있다. 1분기 예정 물량을 2분기로, 3분기로 미루는 식이다. 실제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국내 10대 건설사는 지난 1분기 총 1만1711가구를 분양했다. 지난해 1분기(2만1510가구)의 반토막 수준이다. 지난 1분기에 삼성물산 등은 공급 물량이 전혀 없었다. 건설사별로 많게는 9개 단지(현대건설)까지 선보인 지난해 1분기와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졌다.2분기 이후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10대 건설사의 2분기 주택 공급 계획은 1만9937가구로, 3만 가구에 육박하던 지난해 같은 기간(2만9168가구)보다 31.65%(9231가구) 줄어들 전망이다. 당장 이달 주택 공급에 나서는 건설사는 세 곳에 불과하다. 대형 건설사 분양 팀장은 “여러 건설사가 컨소시엄으로 들어가는 단지를 빼면 가급적 올 7월 이후로 공급을 미루자는 게 업계 분위기”라며 “공사비 급등으로 수익성을 맞추기 어려운 데다 특정 단지에서 미분양이 발생하면 향후 사업에 차질이 생기고 조달 시장에서 악재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지방 분양팀장은 “전국 미분양 주택 수가 7만5000가구를 넘는 등 10년 만에 최악을 기록한 데다 최근 들어선 시멘트·철근 등 건설자재 수급 불안까지 겹쳤다”며 “현장 곳곳에선 자재 가격 인상에 따른 공사비 증액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공급에 손 놓는 건설사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3년 뒤 새 집 부족, 집값 급등 우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과 경북 등 주요 지역에선 이미 주택 공급량이 적정 수요를 밑돌기 시작했다. 서울의 분기별 적정 공급량은 1만1783가구지만 올 1분기엔 9648가구에 그쳤고, 2분기엔 이보다 적은 3645가구만 예정됐다. 3분기와 4분기 예정 물량도 각각 8907가구, 912가구로 적정 물량에 턱없이 부족하다. 경북 역시 분기별 적정 공급량은 3241가구지만 올 1분기부터 3분기까지 계속 2000가구 안팎만 공급됐거나 공급 예정이다.전문가들은 현재 미분양 급증에 가려진 주택 공급 이슈가 3년 후 불거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분양 실적은 결국 입주 물량과 직결된다”며 “분양 물량이 급격하게 위축되면 3년 뒤 ‘입주 공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김은정/이인혁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