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융·부동산 불안…한은·IMF "미 성장률 0.5%p 하락" [강진규의 외환·금융 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의 금융부문과 상업용 부동산의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최악의 경우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0.5%포인트 하락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란 한국은행 보고서가 나왔다. 이는 한국의 경제성장에도 직간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됐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은행 불안에 따른 대출 감소가 미국 성장률을 낮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빠른 속도로 금리 인상을 하고 있지만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유동성 상황이 덜 긴축적이고, 민간부문의 민감도도 낮아, 성장세가 양호하고 물가 둔화세가 더디다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계와 기업이 고정금리 부채비중을 크게 높인 영향으로 파악됐다. 금리가 고정돼 금리 인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채가 많았다는 것이다. 초과저축과 노동 공급부족 등이 가계소득을 지지한 것도 파급효과가 덜했던 이유로 꼽혔다. 실물경제가 금리 인상 영향을 덜 받으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은행과 부동산 등은 금리인상 영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 사태도 리스크 관리에 취약한 중소형 은행부문의 문제가 먼저 불거진 결과라고 소개했다. 다만 Fed의 신속한 정책대응으로 금융불안이 비교적 잘 통제됐다는 평가를 내렸다.
문제는 향후 금융불안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보유자산 가치가 하락한 금융기관과 상업용 부동산의 취약성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은 지속될 것"이라고 썼다. 특히 상업용 부동산은 재택근무 확산 등으로 공실률이 높아지고 자금조달 문제로 신규 건축 건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금융기관 규제가 강화하면 관련 업종 신용긴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이같은 금융불안이 현실화해 신용공급이 제약될 경우(기본 시나리오)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0.2%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금융불안이 예상보다 심화해 중소형 은행과 다른 부문으로 확산될 경우(시나리오1)엔 성장률이 추가적으로 0.3%포인트 더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채권 신용스프레드가 2분기 0.70%포인트까지 확대됐다가 연말 안정을 찾는 것을 가정한 시나리오다.
금융불안을 효과적으로 통제한 경우도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양호한 실물경제가 물가상승을 부추길 수 있어서다. Fed가 이를 제어하기 위해 긴축기조를 예상보다 강화할 경우(시나리오2)에도 기본 시나리오와 같은 0.2%포인트의 성장률 훼손이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송 차장은 "미국의 금융불안이 확산하는 경우뿐 아니라 금융불안이 효과적으로 통제돼 Fed가 긴축을 다시 강화하는 경우에도 한국의 성장·물가·외환시장 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이를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시 대응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IMF도 전일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금융불안 우려를 지적했다. IMF는 SVB 등의 붕괴에 따른 대출 여력 감소로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금 여력에 대한 우려로 중소은행들의 주가가 하락하면서 미국 은행권의 대출 여력이 올해 1% 줄어들 수 있다는 예측이다. 이 경우 미국 GDP는 0.44%포인트 가량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IMF는 봤다.
IMF는 "지역은행과 소형은행이 미국 전체 은행권 대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면서 "이들의 대출 감소는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밝혔다. 국채 등 각종 채권 투자에 따른 미실현 손실을 완전히 처리해야 할 경우 자산 규모 100억∼3000억 달러(약 13조∼396조원)인 미국 은행 가운데 9% 가까이가 자본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고 보기도 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한은, "미국 금융불안, 한국에 악영향"
한국은행은 12일 송병호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차장, 최영우 미국유럽경제팀 과장, 박동현 경제모형실 모형전망팀 과장 등이 집필한 BOK 이슈노트 '금리인상 이후의 미국경제 상황 평가 및 시사점'을 발간했다.보고서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빠른 속도로 금리 인상을 하고 있지만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유동성 상황이 덜 긴축적이고, 민간부문의 민감도도 낮아, 성장세가 양호하고 물가 둔화세가 더디다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계와 기업이 고정금리 부채비중을 크게 높인 영향으로 파악됐다. 금리가 고정돼 금리 인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채가 많았다는 것이다. 초과저축과 노동 공급부족 등이 가계소득을 지지한 것도 파급효과가 덜했던 이유로 꼽혔다. 실물경제가 금리 인상 영향을 덜 받으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은행과 부동산 등은 금리인상 영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 사태도 리스크 관리에 취약한 중소형 은행부문의 문제가 먼저 불거진 결과라고 소개했다. 다만 Fed의 신속한 정책대응으로 금융불안이 비교적 잘 통제됐다는 평가를 내렸다.
문제는 향후 금융불안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보유자산 가치가 하락한 금융기관과 상업용 부동산의 취약성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은 지속될 것"이라고 썼다. 특히 상업용 부동산은 재택근무 확산 등으로 공실률이 높아지고 자금조달 문제로 신규 건축 건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금융기관 규제가 강화하면 관련 업종 신용긴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이같은 금융불안이 현실화해 신용공급이 제약될 경우(기본 시나리오)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0.2%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금융불안이 예상보다 심화해 중소형 은행과 다른 부문으로 확산될 경우(시나리오1)엔 성장률이 추가적으로 0.3%포인트 더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채권 신용스프레드가 2분기 0.70%포인트까지 확대됐다가 연말 안정을 찾는 것을 가정한 시나리오다.
금융불안을 효과적으로 통제한 경우도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양호한 실물경제가 물가상승을 부추길 수 있어서다. Fed가 이를 제어하기 위해 긴축기조를 예상보다 강화할 경우(시나리오2)에도 기본 시나리오와 같은 0.2%포인트의 성장률 훼손이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IMF도 "은행 대출 감소로 미 성장률 하락 전망"
미국의 성장률 하락은 직간접적으로 한국의 성장과 물가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언급됐다. 우리 기업의 외화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투자 감소,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수출 회복 지연 등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특히 시나리오2에서 미국의 긴축 강도가 강해질 경우 한미 금리차가 더욱 벌어져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될 것이란 언급도 나왔다.송 차장은 "미국의 금융불안이 확산하는 경우뿐 아니라 금융불안이 효과적으로 통제돼 Fed가 긴축을 다시 강화하는 경우에도 한국의 성장·물가·외환시장 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이를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시 대응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IMF도 전일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금융불안 우려를 지적했다. IMF는 SVB 등의 붕괴에 따른 대출 여력 감소로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금 여력에 대한 우려로 중소은행들의 주가가 하락하면서 미국 은행권의 대출 여력이 올해 1% 줄어들 수 있다는 예측이다. 이 경우 미국 GDP는 0.44%포인트 가량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IMF는 봤다.
IMF는 "지역은행과 소형은행이 미국 전체 은행권 대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면서 "이들의 대출 감소는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밝혔다. 국채 등 각종 채권 투자에 따른 미실현 손실을 완전히 처리해야 할 경우 자산 규모 100억∼3000억 달러(약 13조∼396조원)인 미국 은행 가운데 9% 가까이가 자본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고 보기도 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