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한국 라면’이 첫선을 보였다. ‘국민들 꿀꿀이죽 먹이지 않겠다’는 전중윤 삼양식품공업(현 삼양식품) 창업주의 집념의 결과물이었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난 지금, 한국 라면산업은 상전벽해다. K푸드 해외 진격의 선봉장으로 나서 연간 해외 판매 2조원 시대를 열어젖혔다.

12일 한국경제신문이 농심, 삼양식품, 오뚜기, 팔도, 풀무원, 하림 등 라면 제조사 여섯 곳과 이들의 해외법인 실적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해외 판매액은 총 2조3288억원이다. 수출과 해외 생산분 판매를 합친 금액이다. 이는 2021년 1조8471억원보다 26.0% 증가한 규모로, 2조원을 돌파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4년 전인 2018년(1조1252억원)에 비해 두 배(106.9%)로 늘었다.

한국 라면의 해외 판매 급증은 K콘텐츠 열풍에 편승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는 게 식품업계의 시각이다. 일본 중국 등 라면 강국과 대적할 수 있도록 생산기지를 확충하고 수십 년간 혁신을 거듭해 품질을 높인 결과다.

‘바람’을 타자 이제는 해외 유력 유통업체가 국내 라면 업체에 앞다퉈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농심은 지난달 미국 창고형 매장인 샘스클럽의 600개 전 점에 ‘신라면’ 등을 입점시켰다. 삼양식품은 이달 미국 코스트코 주요 매장에 ‘불닭볶음면’ 입점을 확정 짓는다. 연내 560개 전 점에 진출하는 것이 목표다. “제발 우리 제품을 넣어달라”며 머리를 조아린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K라면의 선전은 올해 들어 ‘무역적자 비상등’이 켜진 상황에서 더 주목받는다. 올 1분기 라면 수출액은 2억800만달러(약 2752억원)로 농수산식품 품목 중 최대를 기록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라면은 전 세계 식탁에 오르는 한 끼 식사이자 한국 문화를 전파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했다”고 말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