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부도' 스리랑카, 토종 원숭이 10만마리 중국에 수출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 "동물원 관람용"…원숭이 요청
현지 동물보호단체 "다른 목적 의심돼"
현지 동물보호단체 "다른 목적 의심돼"
경제 상황이 어려운 스리랑카가 토종 원숭이 약 10만마리를 중국에 수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이코노미넥스트 등 스리랑카 매체에 따르면 마힌다 아마라위라 스리랑카 농업부 장관은 전날 중국이 자국 동물원 약 1000곳의 관람용으로 스리랑카산 토크 마카크 원숭이를 원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런 요청을 검토하기 위해 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덧붙였다.
판매 가격 등 수출 계약 조건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스리랑카의 토종 원숭이 '토크 마카크 원숭이'는 스리랑카에만 200만∼300만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산된다. 몸길이 43∼53㎝로 체구가 작은 종이다.
스리랑카 주민들에게 이 원숭이는 유해 동물로 여겨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숭이는 수십마리씩 무리 지어 살며 농작물을 훼손하고 사람까지 공격하기 때문이다. 이에 스리랑카 당국은 올해 토크 마카크 원숭이를 보호동물 명단에서 삭제했다.
스리랑카 정부가 토크 마카크 원숭이 수출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동물 보호 운동가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이 원숭이가 스리랑카에서는 흔하지만,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멸종 위기 동물로 지정돼있어 보호 대상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중국이 원숭이를 대량으로 원하는 데는 다른 의도가 있을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스리랑카 동물권 보호단체인 '환경재단'의 자가트 구나와르다나는 "중국이 왜 그렇게 많은 원숭이를 원하는지 알고 싶다"며 식용, 의료 연구용 등 다른 목적이 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스리랑카는 코로나19 사태로 관광 등 주력 산업이 붕괴하고 대외 부채가 급증한 가운데 지나친 감세 등 재정정책 실패까지 겹치면서 경제가 완전히 무너졌다.
지난해 5월부터는 공식적인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로 접어들었다 지난해 6월부터 월간 물가 상승률은 50∼60%를 기록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스리랑카의 현재 대외 채무는 약 500억 달러(약 65조7000억원)에 달하며 이 가운데 100억 달러(약 13조1000억원)는 중국, 인도, 일본에서 빌려왔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13일(현지시간) 이코노미넥스트 등 스리랑카 매체에 따르면 마힌다 아마라위라 스리랑카 농업부 장관은 전날 중국이 자국 동물원 약 1000곳의 관람용으로 스리랑카산 토크 마카크 원숭이를 원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런 요청을 검토하기 위해 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덧붙였다.
판매 가격 등 수출 계약 조건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스리랑카의 토종 원숭이 '토크 마카크 원숭이'는 스리랑카에만 200만∼300만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산된다. 몸길이 43∼53㎝로 체구가 작은 종이다.
스리랑카 주민들에게 이 원숭이는 유해 동물로 여겨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숭이는 수십마리씩 무리 지어 살며 농작물을 훼손하고 사람까지 공격하기 때문이다. 이에 스리랑카 당국은 올해 토크 마카크 원숭이를 보호동물 명단에서 삭제했다.
스리랑카 정부가 토크 마카크 원숭이 수출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동물 보호 운동가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이 원숭이가 스리랑카에서는 흔하지만,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멸종 위기 동물로 지정돼있어 보호 대상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중국이 원숭이를 대량으로 원하는 데는 다른 의도가 있을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스리랑카 동물권 보호단체인 '환경재단'의 자가트 구나와르다나는 "중국이 왜 그렇게 많은 원숭이를 원하는지 알고 싶다"며 식용, 의료 연구용 등 다른 목적이 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스리랑카는 코로나19 사태로 관광 등 주력 산업이 붕괴하고 대외 부채가 급증한 가운데 지나친 감세 등 재정정책 실패까지 겹치면서 경제가 완전히 무너졌다.
지난해 5월부터는 공식적인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로 접어들었다 지난해 6월부터 월간 물가 상승률은 50∼60%를 기록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스리랑카의 현재 대외 채무는 약 500억 달러(약 65조7000억원)에 달하며 이 가운데 100억 달러(약 13조1000억원)는 중국, 인도, 일본에서 빌려왔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