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철 센터장"폐암에도 '나사로의 기적' 가능…환자 맞춤 치료제 적극 활용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 조병철 연세암병원 폐암센터장
국내에서 연 2.5만~3만명 폐암 걸려
뇌로 전이 잦은 '비소세포폐암'이 80%
환자 10명 중 6명 첫 진단 때 이미 4기
신약은 암과 싸우는 '강력한 레이저 총'
2014년 면연항암제 임상 환자 아직 생존
유한양행 '렉라자' 뇌 전이에도 효과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에서 고무적 결과
"미국 FDA 허가 받는 국산신약 될 것"
국내에서 연 2.5만~3만명 폐암 걸려
뇌로 전이 잦은 '비소세포폐암'이 80%
환자 10명 중 6명 첫 진단 때 이미 4기
신약은 암과 싸우는 '강력한 레이저 총'
2014년 면연항암제 임상 환자 아직 생존
유한양행 '렉라자' 뇌 전이에도 효과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에서 고무적 결과
"미국 FDA 허가 받는 국산신약 될 것"
‘나사로 반응을 소망하며’
연세대세브란스병원의 연세·유일한 폐암연구소 입구에 있는 액자의 글귀다. 나사로 반응(Lazarus response)은 심폐소생술(CPR)을 중단한 뒤 늦게 심장이 다시 뛰는 자발순환회복(ROSC) 현상을 지칭하는 의학용어다. 첫 환자 사례가 의학 논문 등으로 보고된 것은 1982년이다. 이후 1993년부터 나사로 현상이라는 용어가 활용되기 시작했다. 성경에서 나사로는 병으로 죽은 지 나흘 만에 ‘나오라’는 예수의 부름에 살아 돌아온 사람이다. 성경 속 나사로처럼 환자가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왔다는 의미다. 조병철 연세암병원 폐암센터장(사진)은 “폐암은 적절한 치료제를 적극 투여하면 환자 상태가 극적으로 좋아지는 일이 종종 있다”며 “이를 두고 미국에선 성경 구절을 인용해 ‘나사로 반응’이라고 표현한다”고 했다. 연세암병원 폐암연구소도 액자의 글귀처럼 ‘나사로 반응’을 위한 연구에 매진하겠다는 의미다.
국내 인구 10만 명당 폐암 사망자는 36.4명이다(2020년 기준). 암을 제거해도 10명 중 9명은 1년 안에 폐암이 재발한다. 폐암은 전이 속도가 빨라 생존율이 낮은 암으로도 유명하다. 조 센터장에게 치명적 질환으로 꼽히는 폐암 치료법의 현주소 등에 대해 들어봤다.
▷폐암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질병으로 알려졌다.
“폐암은 치료 가이드라인이 반년마다 바뀔 정도로 매우 까다로운 질병이다. 국내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할 만큼 치명적이기도 하다. 전이도 빨라 다른 장기로 잘 퍼지고 이 때문에 생존율도 낮아진다.”
▷국내 폐암 환자는 몇명 정도인가.
“국내에선 매년 2만5000명에서 3만명이 폐암에 걸리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상 증상을 느끼고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찾는 환자 10명 중 6명이 폐암 진단을 받는다. 조기 발견이 상당히 중요한 질환이다. 최근에는 비흡연자가 폐암에 걸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 간접 흡연이나 미세먼지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폐암 환자가 많이 걸리는 암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나.
“가장 흔히 진단받는 것은 ‘비소세포폐암’이다. 전체 폐암 환자의 80%가 넘는다. 그 중에서도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양성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이 국내에선 특히 많다. 이 암의 특징은 폐는 물론 뇌로도 전이가 잘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치료가 몹시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폐암은 진단 당시 간, 뼈 등 영상 검사에서 보이지 않는 미세전이가 매우 많다. 재발도 잦다.”
▷폐암은 사망률이 높고 전이도 비교적 잘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한 이유가 있나.
“폐암의 생물학적 특징 때문이다. 폐는 구멍이 많은 말랑말랑한 스펀지처럼 생겼다. 폐암은 이런 폐 조직 틈새에 생긴다. 이런 조직 사이로 전이도 쉽게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폐암은 수술 만을 최고의 치료법으로 보기 어렵다.”
▷폐암 수술보다 적절한 항암제 처방 등 비수술 요법이 효과적이라는 얘기도 있다.
“수술로 암 세포를 모두 제거했다고 생각했지만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병원을 찾는 사례가 적지 않다. 폐암 세포가 생각지도 못한 부위에 미세 전이를 일으킬 수 있어서다. 폐암 진단도 쉽지 않다. 폐암 환자 10명 중 6명은 첫 진단에서 이미 암이 폐 전체로 퍼진 ‘4기’ 판정을 받는다. 이 때문에 적절한 치료제와 항암제를 적재적소에 처방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신약개발은 의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
“암 치료제는 암이라는 적과 싸우는 무기라고 할 수 있다. 그 무기는 구식 소총부터 최신 스텔스기까지 다양하다. 그런 관점에서 신약은 ‘레이저 총’이라고 할 수 있다. 신약 임상시험이 없다면 소총으로만 싸우는 셈이 된다. 폐암 4기 환자에게 소총, 즉 보험이 되는 약만 써서는 몇 개월 밖에 버티지 못한다. 신약이라는 강력한 레이저 총이 있다면 당연히 그것도 써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약이 좋은 레이저 총이라고 해도 예상 못한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다.
“오발은 구식 소총도 레이저 총도 모두 생긴다. 기존 치료제도 부작용이 없지 않다는 의미다. 기존 치료제를 쓰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함께 신약 임상을 적절하게 배합해 최선의 결과를 내보자는 것이다. 그것이 가야 할 길이다. 수술과 방사선 치료로 완치된 암 환자의 재발을 막고 4기 암 환자는 생존 기간을 더 늘릴 수 있다.”
▷폐암 환자는 신약 치료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미인가.
“그렇다. 2014년 국내에 면역항암제가 임상 연구용으로 들어온 적이 있다. 당시 치료 불가능한 4기 폐암 환자가 이 면역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했는데 해당 환자는 다행히 아직도 생존해 있다. 당시 처방한 신약이 바로 미국 머크(MSD)가 개발한 세계 1위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였다. 그 때는 임상연구 단계여서 무료로 처방받았다. 지금은 이 약이 굉장히 비싸져 쉽게 쓰지도 못한다. 그만큼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최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폐암 신약이 있나.
“유한양행의 ‘렉라자’다. 렉라자는 EGFR 양성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다. 동양인 폐암 환자의 30~40%에게서 EGFR 돌연변이가 발견된다. 4기 암 환자에게 특히 많다. 이 돌연변이는 뇌로 전이가 잘 되는 특징도 있다. 하지만 기존 1·2세대 항암제는 뇌로 올라가는 혈관 장벽(BBB)을 통과하지 못해 암이 뇌로 전이되는 것을 막지 못했다. ‘렉라자’는 뇌혈관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뇌로 암이 퍼진 환자에게도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돌연변이에 특이적으로 작용해 부작용도 적은 편이다.” ▷렉라자는 국산 신약이다.
“한국이, 한국인이 낳은 혁신적 치료제다. 국내에서 혁신 신약으로 식약처의 시판 허가를 받았다.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기반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신청 절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일곱 번째로 미국 허가 승인을 받는 국산 신약이 될 것이다. 렉라자는 글로벌 제약사 얀센에 1조4000억원 규모 기술 수출 성과도 낸 약이다. 그동안 국내에선 이런 길을 걸었던 항암제가 없었다.”
▷개발 과정이 쉽지 않았겠다.
”가장 힘들게 한 것은 ‘국내 제약사가 할 수 있을까’, ‘국내 연구자가 할 수 있을까’, ‘국산 약이 세계적으로 널리 쓰일 수 있을까’라는 비관론이었다. 어려움을 이겨내고 국산 항암제로 글로벌 임상 3상시험에서 고무적 결과를 보인 제품은 ‘렉라자’가 유일하다.”
▷렉라자의 처방사례 중 기억에 남는 환자가 있다면.
“2015년 렉라자 임상 1상 연구를 시작했는데 당시 첫 연구인 최저 용량(20㎎)을 투여 받은 환자가 8년째 약물 내성 없이 잘 지내고 있다. 렉라자의 허가 권장용량은 240㎎이다. 당시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있었지만 국내에선 시판되지 않았다. 해당 환자가 렉라자 임상 1상 시험에 참여해 현재까지 잘 지내고 있다.”
▷타그리소도 3세대 EGFR 표적치료제로 분류된다. 같은 3세대인 렉라자와는 어떤 차이가 있나.
“EGFR 양성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절반 정도에게 ‘L858R 돌연변이’가 있다. 타그리소는 L858R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에게 예후가 좋지 않다. 이걸 극복해낸 것이 렉라자다. 특히 아시아인은 EGFR 양성 돌연변이가 많다. 타그리소는 ‘무진행 생존기간’이 16.5개월이었지만 렉라자는 생존기간이 20개월로 더 길었다.”
▷4세대 표적 항암제 치료제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3세대 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환자 중 10%가 EGFR의 C797S 돌연변이가 생긴다. 이들 환자를 위한 4세대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임상 1상 시험에 진입했는데 이 중에서도 ‘JIN-A02’ 후보물질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JIN-A02’에 대해 설명해달라.
“JIN-A02는 암 세포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고, 암이 뇌로 퍼지는 것도 잘 막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세계폐암학회와 유럽종양학회에서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전임상 단계에서 유럽 흉부종양 플랫폼에 선정됐다. 3세대 치료제에 내성을 가진 많은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JIN-A02가 희망의 빛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자 치료 소회와 향후 목표는.
“연세암병원 폐암센터는 연구원 100여 명이 활발하게 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폐암 신약에 연구력을 집중하고 있다. 축적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더 효과 높은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많은 폐암 환자에게 기적처럼 건강을 회복하는 ‘나사로 반응’을 선사하고 싶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연세대세브란스병원의 연세·유일한 폐암연구소 입구에 있는 액자의 글귀다. 나사로 반응(Lazarus response)은 심폐소생술(CPR)을 중단한 뒤 늦게 심장이 다시 뛰는 자발순환회복(ROSC) 현상을 지칭하는 의학용어다. 첫 환자 사례가 의학 논문 등으로 보고된 것은 1982년이다. 이후 1993년부터 나사로 현상이라는 용어가 활용되기 시작했다. 성경에서 나사로는 병으로 죽은 지 나흘 만에 ‘나오라’는 예수의 부름에 살아 돌아온 사람이다. 성경 속 나사로처럼 환자가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왔다는 의미다. 조병철 연세암병원 폐암센터장(사진)은 “폐암은 적절한 치료제를 적극 투여하면 환자 상태가 극적으로 좋아지는 일이 종종 있다”며 “이를 두고 미국에선 성경 구절을 인용해 ‘나사로 반응’이라고 표현한다”고 했다. 연세암병원 폐암연구소도 액자의 글귀처럼 ‘나사로 반응’을 위한 연구에 매진하겠다는 의미다.
국내 인구 10만 명당 폐암 사망자는 36.4명이다(2020년 기준). 암을 제거해도 10명 중 9명은 1년 안에 폐암이 재발한다. 폐암은 전이 속도가 빨라 생존율이 낮은 암으로도 유명하다. 조 센터장에게 치명적 질환으로 꼽히는 폐암 치료법의 현주소 등에 대해 들어봤다.
▷폐암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질병으로 알려졌다.
“폐암은 치료 가이드라인이 반년마다 바뀔 정도로 매우 까다로운 질병이다. 국내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할 만큼 치명적이기도 하다. 전이도 빨라 다른 장기로 잘 퍼지고 이 때문에 생존율도 낮아진다.”
▷국내 폐암 환자는 몇명 정도인가.
“국내에선 매년 2만5000명에서 3만명이 폐암에 걸리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상 증상을 느끼고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찾는 환자 10명 중 6명이 폐암 진단을 받는다. 조기 발견이 상당히 중요한 질환이다. 최근에는 비흡연자가 폐암에 걸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 간접 흡연이나 미세먼지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폐암 환자가 많이 걸리는 암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나.
“가장 흔히 진단받는 것은 ‘비소세포폐암’이다. 전체 폐암 환자의 80%가 넘는다. 그 중에서도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양성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이 국내에선 특히 많다. 이 암의 특징은 폐는 물론 뇌로도 전이가 잘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치료가 몹시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폐암은 진단 당시 간, 뼈 등 영상 검사에서 보이지 않는 미세전이가 매우 많다. 재발도 잦다.”
▷폐암은 사망률이 높고 전이도 비교적 잘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한 이유가 있나.
“폐암의 생물학적 특징 때문이다. 폐는 구멍이 많은 말랑말랑한 스펀지처럼 생겼다. 폐암은 이런 폐 조직 틈새에 생긴다. 이런 조직 사이로 전이도 쉽게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폐암은 수술 만을 최고의 치료법으로 보기 어렵다.”
▷폐암 수술보다 적절한 항암제 처방 등 비수술 요법이 효과적이라는 얘기도 있다.
“수술로 암 세포를 모두 제거했다고 생각했지만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병원을 찾는 사례가 적지 않다. 폐암 세포가 생각지도 못한 부위에 미세 전이를 일으킬 수 있어서다. 폐암 진단도 쉽지 않다. 폐암 환자 10명 중 6명은 첫 진단에서 이미 암이 폐 전체로 퍼진 ‘4기’ 판정을 받는다. 이 때문에 적절한 치료제와 항암제를 적재적소에 처방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신약개발은 의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
“암 치료제는 암이라는 적과 싸우는 무기라고 할 수 있다. 그 무기는 구식 소총부터 최신 스텔스기까지 다양하다. 그런 관점에서 신약은 ‘레이저 총’이라고 할 수 있다. 신약 임상시험이 없다면 소총으로만 싸우는 셈이 된다. 폐암 4기 환자에게 소총, 즉 보험이 되는 약만 써서는 몇 개월 밖에 버티지 못한다. 신약이라는 강력한 레이저 총이 있다면 당연히 그것도 써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약이 좋은 레이저 총이라고 해도 예상 못한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다.
“오발은 구식 소총도 레이저 총도 모두 생긴다. 기존 치료제도 부작용이 없지 않다는 의미다. 기존 치료제를 쓰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함께 신약 임상을 적절하게 배합해 최선의 결과를 내보자는 것이다. 그것이 가야 할 길이다. 수술과 방사선 치료로 완치된 암 환자의 재발을 막고 4기 암 환자는 생존 기간을 더 늘릴 수 있다.”
▷폐암 환자는 신약 치료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미인가.
“그렇다. 2014년 국내에 면역항암제가 임상 연구용으로 들어온 적이 있다. 당시 치료 불가능한 4기 폐암 환자가 이 면역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했는데 해당 환자는 다행히 아직도 생존해 있다. 당시 처방한 신약이 바로 미국 머크(MSD)가 개발한 세계 1위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였다. 그 때는 임상연구 단계여서 무료로 처방받았다. 지금은 이 약이 굉장히 비싸져 쉽게 쓰지도 못한다. 그만큼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최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폐암 신약이 있나.
“유한양행의 ‘렉라자’다. 렉라자는 EGFR 양성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다. 동양인 폐암 환자의 30~40%에게서 EGFR 돌연변이가 발견된다. 4기 암 환자에게 특히 많다. 이 돌연변이는 뇌로 전이가 잘 되는 특징도 있다. 하지만 기존 1·2세대 항암제는 뇌로 올라가는 혈관 장벽(BBB)을 통과하지 못해 암이 뇌로 전이되는 것을 막지 못했다. ‘렉라자’는 뇌혈관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뇌로 암이 퍼진 환자에게도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돌연변이에 특이적으로 작용해 부작용도 적은 편이다.” ▷렉라자는 국산 신약이다.
“한국이, 한국인이 낳은 혁신적 치료제다. 국내에서 혁신 신약으로 식약처의 시판 허가를 받았다.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기반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신청 절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일곱 번째로 미국 허가 승인을 받는 국산 신약이 될 것이다. 렉라자는 글로벌 제약사 얀센에 1조4000억원 규모 기술 수출 성과도 낸 약이다. 그동안 국내에선 이런 길을 걸었던 항암제가 없었다.”
▷개발 과정이 쉽지 않았겠다.
”가장 힘들게 한 것은 ‘국내 제약사가 할 수 있을까’, ‘국내 연구자가 할 수 있을까’, ‘국산 약이 세계적으로 널리 쓰일 수 있을까’라는 비관론이었다. 어려움을 이겨내고 국산 항암제로 글로벌 임상 3상시험에서 고무적 결과를 보인 제품은 ‘렉라자’가 유일하다.”
▷렉라자의 처방사례 중 기억에 남는 환자가 있다면.
“2015년 렉라자 임상 1상 연구를 시작했는데 당시 첫 연구인 최저 용량(20㎎)을 투여 받은 환자가 8년째 약물 내성 없이 잘 지내고 있다. 렉라자의 허가 권장용량은 240㎎이다. 당시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있었지만 국내에선 시판되지 않았다. 해당 환자가 렉라자 임상 1상 시험에 참여해 현재까지 잘 지내고 있다.”
▷타그리소도 3세대 EGFR 표적치료제로 분류된다. 같은 3세대인 렉라자와는 어떤 차이가 있나.
“EGFR 양성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절반 정도에게 ‘L858R 돌연변이’가 있다. 타그리소는 L858R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에게 예후가 좋지 않다. 이걸 극복해낸 것이 렉라자다. 특히 아시아인은 EGFR 양성 돌연변이가 많다. 타그리소는 ‘무진행 생존기간’이 16.5개월이었지만 렉라자는 생존기간이 20개월로 더 길었다.”
▷4세대 표적 항암제 치료제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3세대 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환자 중 10%가 EGFR의 C797S 돌연변이가 생긴다. 이들 환자를 위한 4세대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임상 1상 시험에 진입했는데 이 중에서도 ‘JIN-A02’ 후보물질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JIN-A02’에 대해 설명해달라.
“JIN-A02는 암 세포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고, 암이 뇌로 퍼지는 것도 잘 막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세계폐암학회와 유럽종양학회에서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전임상 단계에서 유럽 흉부종양 플랫폼에 선정됐다. 3세대 치료제에 내성을 가진 많은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JIN-A02가 희망의 빛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자 치료 소회와 향후 목표는.
“연세암병원 폐암센터는 연구원 100여 명이 활발하게 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폐암 신약에 연구력을 집중하고 있다. 축적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더 효과 높은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많은 폐암 환자에게 기적처럼 건강을 회복하는 ‘나사로 반응’을 선사하고 싶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