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위탁생산 '글로벌 최강'…첨단의약품은 걸음마 수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전자치료제 기술 확보 시급"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경쟁이 뜨겁게 벌어지고 있다. 국내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세계 무대에서 활약 중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능력 세계 1위이며, 글로벌 대형 제약사 20곳 중 12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는 이 분야 강자다. 다만 항체의약품에 치중돼 있으며 첨단의약품 분야 진출은 더딘 상황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바이오 전문지 파마보드룸은 최근 글로벌 매출 기준 상위 CDMO로 론자(스위스) 캐털란트(미국) 써모피셔(미국) 우시바이오로직스(중국) 레시팜(스웨덴) 삼성바이오로직스 지크프리트(스위스) 후지필름(일본) 베링거인겔하임(독일) 등 9개 업체를 꼽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업력 12년 만에 126년 전통의 론자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우뚝 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생산(CMO) 사업을 위해 2011년 4월 설립됐다. 2015년 3공장까지 착공하며 빠른 속도로 생산능력을 확장했다. 2018년 세포주 개발, 공정 개발, 임상물질 생산 및 품질 테스트 등을 제공하는 위탁개발(CDO) 진출을 선언하고 CDMO 사업을 본격화했다. 올해 상반기 4공장이 완공되면 생산능력은 총 60만4000L가 된다. 론자 46만L, 베링거인겔하임 49만L, 우시바이오로직스 45만6000L 등 글로벌 경쟁사와 비교해 생산능력에서 초격차 1위로 올라선다.
생산능력 확장 전략은 계속된다. 상반기 18만L 규모의 5공장 증설에 나서 2025년 9월 가동할 계획이다. 특히 5공장에는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와 글로벌 연구개발(R&D) 센터 등을 설립한다. 이곳에 유망한 바이오 스타트업을 입주시켜 지원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항체의약품만 생산할 수 있다. 신공장인 5공장 역시 1~4공장과 마찬가지로 항체의약품 시설이 들어선다. 반면 최근 글로벌 시장에선 첨단의약품 분야인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인수합병(M&A) 경쟁이 치열하다. 단순히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첨단의약품 생산능력을 확장하기 위한 M&A다.
CGT는 차세대 의약품 기술이다. 환자 맞춤형 기적의 항암제라고 불리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 대표적이다. 바이오의약품 매출은 2022년부터 2028년까지 약 5%의 연평균 성장률이 예상되지만 같은 기간 CGT는 46%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도 항체의약품만 생산하는 전략이 아니라면 이른 시일 안에 진출하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김유림 기자 youforest@hankyung.com
18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바이오 전문지 파마보드룸은 최근 글로벌 매출 기준 상위 CDMO로 론자(스위스) 캐털란트(미국) 써모피셔(미국) 우시바이오로직스(중국) 레시팜(스웨덴) 삼성바이오로직스 지크프리트(스위스) 후지필름(일본) 베링거인겔하임(독일) 등 9개 업체를 꼽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업력 12년 만에 126년 전통의 론자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우뚝 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생산(CMO) 사업을 위해 2011년 4월 설립됐다. 2015년 3공장까지 착공하며 빠른 속도로 생산능력을 확장했다. 2018년 세포주 개발, 공정 개발, 임상물질 생산 및 품질 테스트 등을 제공하는 위탁개발(CDO) 진출을 선언하고 CDMO 사업을 본격화했다. 올해 상반기 4공장이 완공되면 생산능력은 총 60만4000L가 된다. 론자 46만L, 베링거인겔하임 49만L, 우시바이오로직스 45만6000L 등 글로벌 경쟁사와 비교해 생산능력에서 초격차 1위로 올라선다.
생산능력 확장 전략은 계속된다. 상반기 18만L 규모의 5공장 증설에 나서 2025년 9월 가동할 계획이다. 특히 5공장에는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와 글로벌 연구개발(R&D) 센터 등을 설립한다. 이곳에 유망한 바이오 스타트업을 입주시켜 지원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항체의약품만 생산할 수 있다. 신공장인 5공장 역시 1~4공장과 마찬가지로 항체의약품 시설이 들어선다. 반면 최근 글로벌 시장에선 첨단의약품 분야인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인수합병(M&A) 경쟁이 치열하다. 단순히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첨단의약품 생산능력을 확장하기 위한 M&A다.
CGT는 차세대 의약품 기술이다. 환자 맞춤형 기적의 항암제라고 불리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 대표적이다. 바이오의약품 매출은 2022년부터 2028년까지 약 5%의 연평균 성장률이 예상되지만 같은 기간 CGT는 46%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도 항체의약품만 생산하는 전략이 아니라면 이른 시일 안에 진출하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김유림 기자 you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