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은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정치적 효과 극대화
위성은 완성됐지만 발사체 준비에 시간 더 걸릴 수도
북한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디데이'는…한미정상회담 겨냥하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완성됐다며 계획된 시일 내 발사를 지시하면서 언제 실제 발사가 이뤄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현재 '제작완성된' 위성을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하도록 최종 준비 마무리를 지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하지만 매체는 '계획된 시일'이 언제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국가우주개발국은 지난해 12월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밝혀, 이달 중 위성을 발사하리라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당시에도 정찰위성 1호기 준비 완료 시점을 언급했을 뿐 발사 준비나 발사 시점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정찰위성을 발사하려면 위성도 준비돼야 하지만, 이를 쏘아올릴 발사체도 완성해야 한다.

위성발사용 장거리로켓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기술적 측면에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북한이 위성용 발사체를 준비하는데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1호기 '완성'을 공식화한 만큼 위성 발사가 임박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김 위원장은 2021년 1월 당대회에서 '가까운 기간 내 군사정찰위성 운용'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어 지난해 3월 국가우주개발국을 시찰하며 '5년 내 다량의 정찰위성 배치' 계획을 밝힌 지 1년여 만에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전문가들은 날씨나 풍속, 풍향 등 기상 조건이 맞는다면, 이르면 이달 안에라도 발사를 감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인 한미정상회담을 염두에 둘 수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이 대좌하는 상황에서 정찰위성을 발사하면 경고메시지 성격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디데이'는…한미정상회담 겨냥하나
김 위원장은 군사정찰위성 보유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계단식으로 확장되고있는 미국과 남조선의 군사적 위협과 도전으로부터 국가의 안전환경과 령토완정을 수호하고 인민의 안녕과 발전리익을 고수"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또 항일빨치산(항일유격대)인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25일)을 전후로 발사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작년에는 대규모 열병식을 개최할 정도로 북한은 인민군의 기원이 된 이날을 중시한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을 군의 성과를 최대화하는 중요한 기념일로 간주한다면 이날을 전후로 치적을 쌓는 의미에서 (위성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북한으로서는 양수겸장으로 사실상 한미정상회담에 대응하는 의미도 가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도 "북한이 정치외교적 효과 최대화를 노린다면 한미정상회담 이전이 아니겠나"라면서 "기상 조건이 맞다는 것을 전제로 23∼24일 정도 발사를 감행해 한미정상회담 테이블에 북한 이슈를 올림으로써 한반도 문제를 주도하는 것은 북한임을 과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반면 4월 내 발사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정찰위성 발사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과 '실패' 부담감 등을 고려해보면 북한이 더욱 신중하게 발사를 추진하리라는 관측이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인공위성 무게에 맞는 발사체 준비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액체연료의 백두산 엔진에 기반한 새로운 인공위성 발사체가 필요해 빨라야 올해 중반이나 하반기쯤에 발사하지 않을까"라며 "만약 인공위성이 작다면 최근 공개한 화성-18형 고체 추진체 기반으로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도 북한이 이번에는 '최종 준비'를 언급했다면서 "아마도 5∼9월 사이 실제 발사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예상했다.

북한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디데이'는…한미정상회담 겨냥하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