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정하는 금통위원…사상 첫 전원 '서울대 경제학부' [강진규의 BOK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ZN.33134108.1.jpg)
19일 한은에 따르면 21일 임기를 시작하는 장용성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과 85학번으로 입학해 1991년 석사학위까지 경제학과에서 취득했다.
금통위원은 총 7명으로 구성된다. 한은 총재가 의장을 맡고, 부총재가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한다. 다른 5명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대한상공회의소, 전국은행연합회가 추천한 민간 위원으로 꾸려진다. 장 신임 위원은 한은이 추천한 인사다.
7명의 금통위원 중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은 장 교수를 포함해 5명이다. 금통위 의장인 이창용 한은 총재가 경제학과 80학번으로 가장 선배이고, 전국은행연합회가 추천한 신성환 위원과 대한상의 추천 서영경 위원은 각각 81·82학번이다. 이승헌 한은 부총재도 경제학과 83학번이다.
금융위 추천으로 장 교수와 함께 임명되는 박춘섭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은 무역학과 79학번이다. 금통위원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조윤제 위원(무역학과 71학번)과 동문이다. 무역학과는 지난 1985년 국제경제학과로 이름을 바꿨다가 1995년 경제학과와 합쳐져 지금의 서울대 경제학부가 됐다.
지난 1998년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금통위 체제가 꾸려진 후 위원 전원이 서울대 경제학부 출신으로 채워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까지는 임기를 마치는 두 위원 중 박기영 위원이 연세대 경제학과를 나왔다. 박 위원 취임 전에는 의장인 이주열 전 한은 총재가 연세대 경영학과, 임지원 전 위원이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출신이었다.
![김중수 전 한은 총재(왼쪽 네번째) 시절 금통위 7인.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213159.1.jpg)
서울대 경제학부 출신이 기준금리를 비롯한 경제와 금융과 관련된 주요 결정을 내리는 금통위를 구성하는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게 한은 안팎의 시각이다. 위원 개개인이 각 분야 최고 전문가라는 것이다. 다만 비슷한 시기에 학교를 함께 다닌 인사가 많아 특정 의견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일부 제기된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