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일자리 부족이 출산율 저하 중요 원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구 5000만을 지키자
(4) 경제전문가가 본 인구 문제
(4) 경제전문가가 본 인구 문제

특히 기조발제를 한 고영선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원장은 “대기업 일자리 부족이 출산율 저조의 중요한 원인”이라고 밝혔다.
고 부원장은 또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 전반적으로 개방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해외 인력 유입을 늘려 낮은 출산율을 보완하는 동시에 무역, 서비스, 외환거래, 해외직접투자 등 금융·수출 장벽 제거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현 산업연구원장은 “생산연령인구(15~64세)의 양적 확충을 위해 인재 공급 채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며 “출산·육아휴직 확대와 비자·국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참석자는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수도권 규제를 완화하고 대신 지역에선 초광역단위 거점도시를 육성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계적 지역 균형 정책은 수도권의 생산성을 떨어뜨릴 뿐 지역 발전으로 이어지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이창양 장관은 “경직적인 노동시간 규제와 저출산으로 노동 공급은 계속 감소할 전망”이라며 “간담회에서 나온 제언을 산업부의 ‘산업대전환 전략’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했다. 간담회는 비공개로 열렸으며 이 장관 외에 9명의 경제전문가가 참석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