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밀 가격이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세계 곡물창고로 불리는 우크라이나의 올해 밀 수확량이 저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 가운데 러시아의 밀 수확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해서다. 두 국가가 맺은 흑해곡물수출협정도 난항을 겪으며 가격이 혼조세에 빠졌다는 분석이다.

19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5월 밀 선물 가격은 전장보다 0.22% 상승한 부셸당 6.9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부셸 당 7달러선을 웃돌던 가격이 소폭 하락했다.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길 두고 요동치는 밀 가격 [원자재 포커스]
주요 밀 공급 국가의 수확 전망은 악화하고 있다. 지난 17일 미국 농무부(USDA)는 지난해 장기간 가뭄으로 인해 겨울 밀 작황이 저조했다고 밝혔다. 우수 등급을 받는 고급 밀 작황은 더 저조했다. 1996년 이후 우수 등급으로 평가된 밀 비중은 30% 미만으로 떨어졌다.

우크라이나도 작황이 저조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농업부는 올해 밀 수확량을 5000만t으로 전망했다. 이상적인 상황을 전제한 추정치다. 조건을 평균에 맞추게 되면 4430만t으로 추산된다. 전쟁 이전 8600만t을 웃돌던 평균값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지난해 맺었던 '흑해 곡물 협정'도 중단될 위기다.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곡창지대에서 생산된 곡물의 수출항으로 이용되던 오데사 등 우크라이나 쪽 흑해 항구들을 봉쇄하자, 세계 곡물 가격이 급등하는 등 큰 혼란이 빚어졌다. 이에 유엔과 튀르키예(옛 터키)가 중재해 우크라이나 3개 항구에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이 지난해 7월 타결됐다.

이 협정은 이미 두차례 연장됐지만, 러시아가 지난해 협정 체결 이후 지금까지 러시아산 곡물과 비료도 흑해를 통해 원활하게 수출될 수 있도록 한 합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러시아는 또 이 문제 해결에 진전이 없을 경우 협정에서 탈퇴하겠다고도 했다.

지난 17일 우크라이나 복원부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협정 체결 후 9개월 만에 두 번째로 선박 검사 계획이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단 한 척의 선박도 검사받지 못하고 있다"며 "협정이 중단될 위기"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복원부에 따르면 튀르키예 이스탄불 보스포루스 해협에 위치한 공동조정센터(JCC)에 파견된 러시아 대표단이 협정에 완전히 위배되는 검사 계획을 고집하고 있다. 지난 사흘간 러시아 대표단이 아무런 설명도 없이 3척의 선박 등록을 거부하는 등 협정 적용에 대해 자체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우크라이나 항만 활동을 간섭하려 한다는 주장이다.

전날 로이터에 따르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참석을 위해 다음 주 미국 뉴욕을 방문하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현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만나 흑해 곡물 협정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우크라이나 곡물 육로 수송 길도 다시 뚫렸다. 폴란드가 자국 농민 보호를 위해 한시적으로 우크라이나 곡물 경유 수송을 중단했지만, 지난 18일 이를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유럽연합(EU)이 폴란드,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우크라이나 인접국의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1억유로 규모의 지원 패키지를 제공하기로 결정해서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