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中 첨단기술 투자 금지 행정명령 추진…G7 동참 요구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 AI·반도체·양자컴퓨터 신규투자 제한
다음달 G7 정상회의 맞춰 서명할 계획
옐런 "美 경제 이익과 상충해도 안보 추구"
다음달 G7 정상회의 맞춰 서명할 계획
옐런 "美 경제 이익과 상충해도 안보 추구"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 정부가 G7 국가들에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 제한에 대한 설명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2021년 말 기준 미국 기업들의 중국 직접투자 규모는 약 1200억달러(158조7000억원)다. 이중 컴퓨터 및 전자기기 부문 투자금액은 128억달러에 이른다.
미 정부는 그러나 독자 조치만으로는 투자 제한 효과를 내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다음달 19일부터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로 행정명령 서명 시기를 맞춘 이유다. 주요국들에게 지지와 동참을 요구해 규제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목적이다. 미 재무부 관리들은 이번 주 유럽 국가들을 대상으로 이번 규제에 대한 설명에 들어갔다.
이날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도 한 강연에서 관련 내용을 언급했다. 옐런 장관은 “해외투자 금지 조치는 국가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특정 민감한 기술에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투자 규제 등) 국가 안보 행동은 우리가 경제적 이점을 얻거나 중국의 기술적 현대화를 억압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과 상충될 때도 중국에 대한 안보 우려를 우선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경제적으로 손해를 보더라도 대중 수출 및 투자 규제를 계속하겠다는 의미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