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당 1명꼴' 총기 소유한 스위스…'묻지마 난사' 없는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스위스 총기 현황을 최신 수치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존 통계를 토대로 2018년 기준 민간인 100명당 총기 28정을 소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이같이 분석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스위스에서는 2001년 이후 대규모 인명 피해를 부른 총기 난사 사건이 없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2016년 기준 스위스에서는 총기를 이용한 살인 시도가 47건 있었지만 실제로 살인 사건으로 이어진 비율은 0에 가깝다는 설명이다.
일례로 매년 9월 13∼17세를 대상으로 열리는 사격 대회에서는 청소년 참가자가 소총으로 표적을 사격하는 경험을 해볼 수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또 스위스가 1815년부터 '무장한 중립국'을 고수하면서 수많은 국민이 총기 소유를 '애국적 의무'의 일부로 생각하는 분위기도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했다.
이를 토대로 봤을 때 미국과 스위스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민간인이 꼽는 총기 소유 목적에 있다. 2000년 기준 스위스에서는 총기 소유 이유를 군사 또는 치안으로 꼽은 비율이 25% 이상이었지만 미국에서는 5%에도 못 미쳤다.
특히, 스위스 당국은 총기 구매에도 엄격한 절차를 적용한다.
지역 경찰이 총기 면허를 내줄 때도 구매자의 타지역 거주 이력, 정신과 상담 자료 등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스위스 법에서도 음주, 마약 관련 전과자의 총기 구매를 원천 차단한다.
특히 "폭력적이거나 위험한 태도"를 보인 사람에게는 총기 소유를 금지하도록 적시돼 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