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교전 없이 수단 철수작전 성공…한국은 어떻게?
북아프리카 수단에서 한국 국민의 철수 작전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23일(현지시간) 수단에 체류 중이던 70여명의 대사관 직원과 일부 제3국 외교관 등 100명 미만의 민간인을 안전하게 철수시켰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관 철수 명령을 받은 미군은 이번 작전에 약 100명의 특수부대원과 침투 작전에 사용되는 MH47 치누크 헬기를 동원했다.

인근 지부티 기지에 있던 미군 MH-47 헬기는 치열한 전투가 한창인 하르툼 시내 미국대사관에 착륙해 약 1시간 동안 머물며 대사관 직원 등을 태우고 인근 에티오피아로 빠져나왔다.

9일째 이어지는 수단 정부군과 신속지원군(RSF)의 교전으로 직원들이 대사관에서 공항까지 이동하기가 매우 위험한 데다, 수도 하르툼 공항이 주요 교전 지역이어서 수송기 등의 이착륙이 불가능한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작전에 투입된 특수부대원들은 총 한 발 쏘지 않은 채 작전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



철수 작전 개시 직전부터 작전이 마무리될 때까지 미군 아프리카 사령부 등이 분쟁 중인 수단의 양대 군벌과 지속 접촉하면서 작전팀의 안전 경로 확보에 힘썼다고 AP 통신이 전했다.



미국에 앞서 자국민 등 철수에 성공한 사우디아라비아는 바닷길을 이용했다.

사우디는 전날 자국민 91명,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튀니지, 파키스탄, 인도, 불가리아, 방글라데시, 필리핀, 캐나다, 부르키나파소 등 12개국 국민 66명을 자국으로 안전하게 철수시켰다고 밝혔다.

사우디 국영 알에크바리야 방송에 따르면 전날 수단을 빠져나간 총 157명은 차량으로 수도 하르툼에서 홍해 항구도시 포트 수단으로 이동한 뒤 사우디아라비아 제다로 가는 배를 탔다.



수단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 28명을 안전하게 빼내야 하는 우리 정부도 공항, 항구, 철도 등 가능한 모든 경로를 염두에 두고 철수 작전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공군 C-130J '슈퍼 허큘리스' 수송기와 707 대테러 특수임무대와 공군 공정통제사(CCT) 등 50여 명의 지원 병력을 파견했다.

전날 수단 인근 지부티 미군 기지에 도착한 이들은 현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철수 작전 개시 명령을 기다리고 있다.

또 우리 정부는 바닷길을 통한 철수 상황에 대비해 오만 살랄라 항에 있던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인 청해부대 충무공이순신함(DDH-II·4천400t급)을 수단 인근 해역으로 이동시키는 중이다.

한국에 앞서 프랑스와 네덜란드 등이 자국민 철수 작전을 개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수단 정부군과 RSF는 각국의 철수 작전을 돕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