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트럭·전기차 충전소에도 '주소' 부여…이유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99.13984991.1.jpg)
행안부는 24일 복잡한 지하 상가와 지하철 역사, 항구·포구, 거리 공연장 등에도 주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정책 선도사업을 한다고 밝혔다. 종전에는 푸드트럭이나 야외 행사장과 같은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곳은 주소 부여 대상에서 배제됐다. 음식 배달을 시킬 경우 배달원이 바로 근처까지 찾아온 경우에도 수령인과 통화가 되지 않으면 목적지를 특정하지 못해 돌아가야 하는 일이 잦았다.
서울시도 이날 전기차 충전소에 ‘사물 주소’를 부여하고 이 정보를 티맵 등에 연동시키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작년 11월 사물주소 부여 대상 관련 고시가 개정된 후 전기차 충전기기 일부에 도로명 및 사물번호를 적용해 봤지만, 실제로 이 주소가 티맵·일렉배리 등 사용자들이 자주 쓰는 앱에 반영되지 않아 소용이 없었다.
서울시는 오는 8월까지 서울시 등이 운영하는 옥외 급속충전기 200기에 먼저 주소를 부여하고 앞으로 서울지역 모든 급속충전기(3000여기)로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충전기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 등도 구분되지 않아 사용자 불편이 많았다”며 “주소 부여 대상을 더 확대하는 방안을 환경부 등과 협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