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 태양을 둘러싼 광대한 우주공간 속에는 딱 다섯 개의 특별한 지점이 있다. 그 이름은 ‘라그랑주 점’. 두 별의 중력이 상쇄돼 사실상의 ‘무중력 상태’를 만들어내는 신비로운 공간이다.
라그랑주 점은 다누리호를 비롯한 우주선의 기착지, 우주 정거장이나 인공위성의 위치, 우주 개발의 거점 등으로 활용된다. 두 힘이 균형을 이루는 곳에서 새로운 꿈이 시작되는 것이다.
서울 한남동 갤러리바톤은 이런 사실에서 착안해 김상균(56)과 수잔 송(49)의 2인전에 ‘라그랑주 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각각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일군 중견 작가들임에도 불구하고 전시장에 나온 두 명의 작품은 절묘한 균형과 조화를 이룬다.
김상균의 'Pattern Column B #221010'. 갤러리바톤 제공
김상균의 'Pattern Column B #220720'. 갤러리바톤 제공
김 작가는 건축물을 주제로 한 입체 작품들과 평면 작품을 선보였다. ‘건물은 인간의 꿈과 욕망을 고스란히 품은 존재’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그래서 김 작가는 마천루나 제국주의 시대 건물 등 권위적인 건축물들을 모티브로 한 작품을 주로 제작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근현대 역사와 도시의 삶에 대한 관심을 환기한다.
수잔 송의 'Cast I'. 갤러리바톤 제공
수잔 송의 'Three Points I'. 갤러리바톤 제공
송 작가의 작품은 평면 위주다. 하지만 특수 제작한 캔버스, 의도적으로 연출한 착시 현상 덕분에 마치 입체와 비슷한 느낌을 준다. 이를 통해 ‘공간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탐구했다는 설명이다. 전시는 다음달 20일까지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