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가격 하락....러의 수출제한 가능성 불안 요인 [원자재 포커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흑해곡물 협정으로 밀 가격 지속 하락
서방국가들, 대러시아 제재위해 수출 금지 검토
러, 물협정 종료 카드로 맞불 경고
서방국가들, 대러시아 제재위해 수출 금지 검토
러, 물협정 종료 카드로 맞불 경고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거래되는 국제 소맥 7월 선물 가격은 24일(현지시간) 부셸당 6달러 57센트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전장보다 약 2.38% 내린 가격이다.
밀 가격은 세계적으로 공급량이 충분하고 흑해 흑해 곡물협정 연장으로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이 계속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호주와 유럽 지역의 작황이 좋고, 러시아와 수출 가격 경쟁 등도 가격 하락 요인이다.
하지만 향후 국제 소맥 가격의 상승 가능성도 작지 않다. 서방국가들이 대러시아 제재 강화 방안으로 전면적인 수출 금지를 검토하는 데 대해 러시아가 흑해 곡물협정 종료 카드로 맞불을 놓겠다고 경고해서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23일(현지시간) 자신의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에 대한 전면 수출 금지는 아름다운 일이 될 것"이라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그것(전면 수출 금지)은 G7 국가들이 가장 예민하게 여길 상품군에 대한 수출을 우리가 상호주의 차원에서 금지할 것임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런 상황(전면 수출 금지)에서는 곡물 거래를 포함해 G7 국가들이 필요로 하는 많은 것들도 끝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드베데프 부의장이 거론한 '곡물 거래 종료'는 전란 속에서도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을 가능하게 했던 '흑해 곡물협정'을 더는 연장하지 않고 중단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협정은 세계 최대 곡물 생산국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의 흑해 3개 항구에서 수출을 재개하는 내용이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흑해 봉쇄로 막혔던 수출길을 열기 위해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 하에 협상이 진행됐고 작년 7월 협정이 체결됐다.
러시아는 협정 체결 당시 우크라이나산 농산물뿐 아니라 러시아산 곡물과 비료 수출도 활성화한다는 데 합의했지만 서방 국가들의 복잡한 대러시아 제재 구조 속에서 러시아산 비료 수출 등이 여전히 제약받고 있다는 불만을 표시해왔다.
120일 기한이었던 협정은 작년 11월 한차례 연장됐고, 기한 만료일인 지난달 18일 가까스로 재연장됐지만 러시아 측은 협정 탈퇴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자국산 곡물·비료 수출 활성화를 요구하고 있다.
G7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속하는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 방안으로 거의 모든 품목의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G7 관료들이 내달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이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밀 가격은 세계적으로 공급량이 충분하고 흑해 흑해 곡물협정 연장으로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이 계속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호주와 유럽 지역의 작황이 좋고, 러시아와 수출 가격 경쟁 등도 가격 하락 요인이다.
하지만 향후 국제 소맥 가격의 상승 가능성도 작지 않다. 서방국가들이 대러시아 제재 강화 방안으로 전면적인 수출 금지를 검토하는 데 대해 러시아가 흑해 곡물협정 종료 카드로 맞불을 놓겠다고 경고해서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23일(현지시간) 자신의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에 대한 전면 수출 금지는 아름다운 일이 될 것"이라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그것(전면 수출 금지)은 G7 국가들이 가장 예민하게 여길 상품군에 대한 수출을 우리가 상호주의 차원에서 금지할 것임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런 상황(전면 수출 금지)에서는 곡물 거래를 포함해 G7 국가들이 필요로 하는 많은 것들도 끝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드베데프 부의장이 거론한 '곡물 거래 종료'는 전란 속에서도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을 가능하게 했던 '흑해 곡물협정'을 더는 연장하지 않고 중단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협정은 세계 최대 곡물 생산국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의 흑해 3개 항구에서 수출을 재개하는 내용이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흑해 봉쇄로 막혔던 수출길을 열기 위해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 하에 협상이 진행됐고 작년 7월 협정이 체결됐다.
러시아는 협정 체결 당시 우크라이나산 농산물뿐 아니라 러시아산 곡물과 비료 수출도 활성화한다는 데 합의했지만 서방 국가들의 복잡한 대러시아 제재 구조 속에서 러시아산 비료 수출 등이 여전히 제약받고 있다는 불만을 표시해왔다.
120일 기한이었던 협정은 작년 11월 한차례 연장됐고, 기한 만료일인 지난달 18일 가까스로 재연장됐지만 러시아 측은 협정 탈퇴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자국산 곡물·비료 수출 활성화를 요구하고 있다.
G7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속하는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 방안으로 거의 모든 품목의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G7 관료들이 내달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이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