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디지털 부자 3년새 10배 급증, 美주식 투자 선호…채권은 꺼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증권 상위 1% 22만명
디지털 부자는 어떤 사람?
평균 투자자산 4.3억, 평균 연령 46세
주식 투자, 스타트업 창업으로
新부유층 올라선 3040 많아
30대 전문직 주식 비중 67.2%,
해외주식 비중 12.3%…전체 평균 2배
지방 부자들도 新부유층 속속 합류
채권 투자 선호…현금 비중도 높아
디지털 부자는 어떤 사람?
평균 투자자산 4.3억, 평균 연령 46세
주식 투자, 스타트업 창업으로
新부유층 올라선 3040 많아
30대 전문직 주식 비중 67.2%,
해외주식 비중 12.3%…전체 평균 2배
지방 부자들도 新부유층 속속 합류
채권 투자 선호…현금 비중도 높아
삼성증권이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해 주로 거래하는 ‘상위 1%’ 부자들을 분석한 ‘디지털 부유층’ 현황을 26일 공개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자산 시장이 급변하는 시기 모바일로 직접 거래하는 부자들의 행태를 보여주고 있다.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이나 주식 투자 등을 통해 부를 쌓은 3040세대 부자들이 늘어난 것도 특징이다.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들이나 안살림을 챙기는 주부들도 과거처럼 예금, 부동산에 만족하지 않고 실전 투자의 세계로 뛰어들고 있다.
운용 자산도 늘었다. 계좌 평균 자산은 2019년말 1억6500만원에서 2022년말 4억3000만원으로 2.6배 증가했다. 이들 고객들의 부동산, 예금 등을 포함한 총자산은 이런 투자자산의 최소 10배 이상이라는 게 증권가 분석이다. 부자들의 평균 연령이 젊어진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2019년 말 51세였던 평균연령이 불과 3년만에 45.6세로 6세 낮아졌다. 오현석 삼성증권 디지털자산관리본부장은 “의사, 세무사 등 전문직이나 스타트업 경영, 코인·주식 투자 등으로 비교적 젊은 나이에 상당한 부를 일군 신흥 부자들이 최근 디지털 고객으로 활발히 편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증권 전체 디지털 부유층의 평균 자산 비중과 비교하면 해외 주식 비중은 평균(5%) 대비 두배 이상이다. 채권 투자 비중은 전체 평균(5%)의 6%에 그치는 반면 현금 비중은 15.3%로 전체 평균(10%)보다 50% 이상 많다. 오 본부장은 “10억원 이상을 거래하는 초부유층도 30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위험자산 투자에 적극적”이라고 귀띔했다. 이런 30대 디지털 부유층은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빠르게 늘고 있다. 삼성증권의 디지털 부유층 중 30대는 2019년 3660명에서 2022년말 3만4665명으로 3년간 10배 가까이 급증했다.
40대는 지난해 말 기준 6만117명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3년 전 1만1404명에서 5.5배 늘었다. 2019년 1만4988명으로 당시 비중이 가장 높았던 50대는 2022년말 6만117명으로 집계됐다. 전체에서 두번째로 비중이 높은 연령대다.
송정은 삼성증권 디지털SNI팀장은 “은행과 증권사들이 인구감소 등 여파로 지방 지점수를 줄이는 반면 모바일 거래에 익숙해진 노령층이 늘어나면서 지방의 디지털 부유층 고객이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채권 상품 거래가 활성화된 것도 이런 노년층 부자들을 끌어들이는데 일조했다. 삼성증권의 디지털 고객 대상 채권 판매액은 2019년 101억원에서 2022년 1조2899억원으로 3년간 약 127배 늘었다.
특히 주부들이 폭발적으로 늘었다는 게 현장의 설명이다. 직업을 주부라고 밝힌 1억원 이상 디지털 고객은 2019년 2383명에 그쳤지만 2022년말엔 1만여명으로 늘었다. 40대 주부들의 평균 자산 배분은 △국내주식 70.6% △해외주식 7.3% △금융상품 3.0% △채권 2.1% △현금 17% 등으로 조사됐다. 40대 주부들의 해외 주식 비중이 전체 평균(5%)보다 높은 것이 눈에 띈다. 투자 자산 다변화에 대한 수요로 분석된다.
투자 다각화는 전체 디지털 부유층을 꿰뚫는 특징이다. 2019년말 82%에 달했던 디지털 부유층의 국내주식 투자 비중은 2022년말 75%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해외 주식 비중이 0.7%에서 5%로, 채권 비중도 0.4%에서 5%로 각각 높아졌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디지털 부자 3년만에 5배 증가
삼성증권에 따르면 디지털 자산 1억원 이상 고객 수는 2019년말 3만8197명에서 2022년말 약 22만5000명으로 3년간 5배 넘게 불어났다. 삼성증권 계좌 잔액을 1억원 이상 유지하고 전담 자산 관리자를 두지 않으면서 주거래를 디지털로 하는 고객들을 집계한 수치다.운용 자산도 늘었다. 계좌 평균 자산은 2019년말 1억6500만원에서 2022년말 4억3000만원으로 2.6배 증가했다. 이들 고객들의 부동산, 예금 등을 포함한 총자산은 이런 투자자산의 최소 10배 이상이라는 게 증권가 분석이다. 부자들의 평균 연령이 젊어진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2019년 말 51세였던 평균연령이 불과 3년만에 45.6세로 6세 낮아졌다. 오현석 삼성증권 디지털자산관리본부장은 “의사, 세무사 등 전문직이나 스타트업 경영, 코인·주식 투자 등으로 비교적 젊은 나이에 상당한 부를 일군 신흥 부자들이 최근 디지털 고객으로 활발히 편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30대 해외주식 비중 평균의 2배
강남에서 피부과 전문의로 일하는 35세 정 모씨의 삼성증권 계좌 잔액은 1억1000만원. 정 씨의 자산 포트폴리오는 30대 전문직 남성 1039명의 평균과 가장 유사하다. 전체 자산 중 국내 주식 비중이 67.2%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해외주식 비중 12.3% △펀드 등 금융상품 4.7% △채권 투자 0.3% 등이다.삼성증권 전체 디지털 부유층의 평균 자산 비중과 비교하면 해외 주식 비중은 평균(5%) 대비 두배 이상이다. 채권 투자 비중은 전체 평균(5%)의 6%에 그치는 반면 현금 비중은 15.3%로 전체 평균(10%)보다 50% 이상 많다. 오 본부장은 “10억원 이상을 거래하는 초부유층도 30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위험자산 투자에 적극적”이라고 귀띔했다. 이런 30대 디지털 부유층은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빠르게 늘고 있다. 삼성증권의 디지털 부유층 중 30대는 2019년 3660명에서 2022년말 3만4665명으로 3년간 10배 가까이 급증했다.
40대는 지난해 말 기준 6만117명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3년 전 1만1404명에서 5.5배 늘었다. 2019년 1만4988명으로 당시 비중이 가장 높았던 50대는 2022년말 6만117명으로 집계됐다. 전체에서 두번째로 비중이 높은 연령대다.
○채권에 빠진 70대 디지털 부자도 등장
지방에 거주하는 부자들도 모바일 거래를 통해 적극적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었다. 2019년 말부터 2022년 말까지 3년간 지방에서 늘어난 1억 이상 디지털 부자는 6만6052명으로 같은 기간 서울 지역에서 증가한 고객수(4만6899명)보다도 많았다. 투자 성향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라는 평가다. 대구에 거주하는 72세 남성인 김 모씨는 삼성증권 증권계좌에서 2억2300만원을 굴린다. 70대 남성 평균 자산 포트폴리오와 가장 유사한 김 씨는 국내 주식에 58.6%를 투자하고 있다. 전체 디지털 부자들의 평균 주식 투자 비중(75%)에 비해 16.4%포인트 낮았다. 반면 채권투자 비중은 12.7%로 전체 평균(5%)보다 두배 이상 높다. 현금 비중(20.6%)도 전체 평균(10%)의 두배 수준으로 집계됐다.송정은 삼성증권 디지털SNI팀장은 “은행과 증권사들이 인구감소 등 여파로 지방 지점수를 줄이는 반면 모바일 거래에 익숙해진 노령층이 늘어나면서 지방의 디지털 부유층 고객이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채권 상품 거래가 활성화된 것도 이런 노년층 부자들을 끌어들이는데 일조했다. 삼성증권의 디지털 고객 대상 채권 판매액은 2019년 101억원에서 2022년 1조2899억원으로 3년간 약 127배 늘었다.
○다변화되는 자산 포트폴리오
여성 고객들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디지털 거래금액 1억원 이상 여성 고객수는 2019년말 1만2027명에서 2022년말 7만1464명으로 6배 급증했다. 같은 기간 남성 디지털 고객은 2만6135명에서 13만3590명으로 증가했다.특히 주부들이 폭발적으로 늘었다는 게 현장의 설명이다. 직업을 주부라고 밝힌 1억원 이상 디지털 고객은 2019년 2383명에 그쳤지만 2022년말엔 1만여명으로 늘었다. 40대 주부들의 평균 자산 배분은 △국내주식 70.6% △해외주식 7.3% △금융상품 3.0% △채권 2.1% △현금 17% 등으로 조사됐다. 40대 주부들의 해외 주식 비중이 전체 평균(5%)보다 높은 것이 눈에 띈다. 투자 자산 다변화에 대한 수요로 분석된다.
투자 다각화는 전체 디지털 부유층을 꿰뚫는 특징이다. 2019년말 82%에 달했던 디지털 부유층의 국내주식 투자 비중은 2022년말 75%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해외 주식 비중이 0.7%에서 5%로, 채권 비중도 0.4%에서 5%로 각각 높아졌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