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기업 고객을 겨냥한 챗GPT 서비스 모델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막대한 운영비 부담을 덜고 수익도 실현하기 위해 본격적인 사업성 강화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오픈AI는 26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챗GPT 비즈니스’가 곧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터에 대한 더 많은 제어가 필요한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를 관리하고자 하는 기업을 위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회사는 “오픈AI 비즈니스는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데이터 사용 정책을 따를 것이며, 최종 사용자의 데이터가 챗GPT를 교육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기업들이 영업비밀 유출을 우려해 ‘챗GPT 금지령’을 내리자 이에 대한 해법을 내놓은 것이다. 챗GPT 비즈니스 유료서비스를 활용하면 회사 내부 정보가 새어 나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오픈AI는 “향후 몇 개월 내에 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오픈AI는 챗GPT에 대한 추가 유료 요금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2월 GPT-4를 월 20달러인 ‘챗GPT 플러스’로 제공하면서 유료화를 시작했다.

오픈AI가 유료화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운영비용 때문이다. 작년 11월 챗GPT가 출시된 후 2개월 만에 월 이용자가 1억명을 넘어서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측의 운영비 부담도 커졌다. 이 회사의 샘 알트먼 CEO는 “챗GPT의 운영 비용은 채팅 당 몇 센트에 달할 정도로 눈 깜짝할 사이에 불어난다”고 말한 바 있다. 업계에선 연간 운영 비용이 5억달러(6500만원)에서 최대 10억달러(1조3000억원)까지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오픈AI가 수익 실현에 나서면서 ‘챗GPT’ 상표권 보호도 강화하고 있다. 앞서 오픈AI는 지난 24일(현지시간)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챗GPT의 API 제품을 개발할 경우 ‘OOOGPT’를 붙이지 말아달라”고 권고했다. 대신 ‘GPT-4로 구동되는 ~서비스’ 등으로 쓰라는 것이다. 공식 파트너가 아닌 경우 ‘협력했다’,‘파트너십을 맺었다’ 등의 표현도 사용하지 말라는 규정도 함께 내놨다. 챗GPT의 인지도에 무임승차하는 행위를 묵인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오픈AI는 지난 13일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GPT’에 대한 상표권 확보했다.

오픈AI는 챗GPT 비즈니스 제품 외에도 모든 챗GPT 사용자가 채팅 기록을 끌 수 있는 새로운 기능도 발표했다. 채팅 기록을 비활성화시키면 해당 대화 내용이 챗GPT 교육에 사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오픈AI 본사.   사진=구글맵
오픈AI 본사. 사진=구글맵
챗GPT가 생성한 데이터를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방안도 26일부터 시작했다. 사용자가 자신의 오픈AI 계정과 연결된 이메일 주소로 데이터 파일을 보내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런 새로운 기능은 세계 각국에서 챗GPT에 대한 논란과 규제 움직임이 나타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은 챗GPT의 사생활침해, 개인정보보호 취약 등을 이유로 제재 검토에 나서자 대응에 나선 것이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