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427만명 피해보상안 발표…소상공인·PC방 집중 지원
LG유플러스가 지난 1월 발생한 디도스 장애와 고객 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보상안을 28일 발표했다. 개인 고객들에겐 평균 1000원가량을 요금 감면으로 보상한다. 사업자 고객은 소상공인과 PC방 사업자로 구분해 요금 감면, 현금 보상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개인 고객은 요금 감면, 온라인 몰 할인 쿠폰 보상

LG유플러스는 보상안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협의체를 구성하고 약 40일간 10여 차례의 개별 미팅과 현장 실사, 전체 회의 등을 진행했다. 이 협의체는 김기홍 한국PC인터넷카페협동조합 이사장, 박성범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 송지희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 이은아 매일경제 논설위원,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 한석현 서울YMCA시민중계실 실장 등 외부 인사 6명과 LG유플러스 임원 등으로 구성됐다.

협의체는 지난 2월 16일부터 접수된 인터넷 접속 오류들을 분석한 뒤 보상안을 일반 개인 고객과 사업자 고객으로 분류했다. 개인 고객에 대해선 인터넷TV(IPTV) 단독, 인터넷 단독, 인터넷 결합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가입자 427만명에 장애시간 대비 10배를 보상하기로 했다. 보상 방식은 고객별 5월 청구 요금에서 자동 감면되는 방식이다. 고객 1인당 평균 1041원의 감면 효과가 예상된다.

추가 보상안도 마련했다. LG유플러스는 자사 온라인 몰인 ‘U+콕’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3000·5000원 상당의 할인 쿠폰을 피해 고객에게 제공하기로 했다. 쿠폰은 다음 달 9일부터 발행돼 고객에게 문자로 안내될 예정이다. 문자를 받지 못한 고객도 LG유플러스 웹사이트에서 다음 달 24일부터 별도로 쿠폰 신청이 가능하다. 이 쿠폰은 오는 7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하다.
LGU+, 427만명 피해보상안 발표…소상공인·PC방 집중 지원

PC방은 요금 감면이나 현급 지급 중 선택

사업자 고객에 대해선 소상공인과 PC방 업주로 나누어 보상하기로 했다. 협의체는 모든 LG유플러스의 소상공인 대상 서비스 이용자에 대해 이용 요금 1개월분을 감면하기로 했다. 이는 오는 6월 청구 요금에서 적용될 예정이다. 협의체가 소상공인 피해 사례 330여건을 들여다본 결과 ‘결제 불가 문의’가 31%로 가장 많았고 ‘배달주문 불가(25%)’가 그 뒤를 이었다.

LG유플러스는 온라인 블로그 홍보 서비스인 ‘레뷰’도 소상공인 2000명에게 무상 지원하기로 했다. 이 서비스로 3개월간 15회의 블로그 콘텐츠 홍보를 지원한다. 신청을 원하는 소상공인은 LG유플러스에서 안내 받은 문자 링크를 통해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운영비 및 매장 내 가전제품 지원 등의 혜택을 주는 ‘착한가게 캠페인’도 운영할 예정이다.

PC방 사업자에 대해선 지난 1월 29일과 2월 4일 중 접속 오류를 겪은 PC방에 보상금을 차등적용하기로 했다. 보상 방식은 7~8월 중 현금 지급안과 6~7월 중 이용요금 감면안 중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협의체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PC방의 잠재 매출 피해 정도도 가늠했다. 이 결과 평균 1월 29일엔 32만3000원, 2월 4일엔 38만7000원의 보상액이 책정됐다. PC방 사업자 민원은 ‘인터넷 접속 오류로 인한 손님 이탈(59%)’, ‘요금 환불(35%)’ 등이 많았다.

오는 2~11일 피해 추가 접수

협의체는 오는 2일부터 11일까지 추가 피해 접수도 받기로 했다. 지난 1월 29일이나 2월 4일 디도스 장애로 인해 인터넷 접속 오류를 겪었던 고객들이 대상이다. 피해보상센터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되며 홈페이지 신청은 24시간 가능하다.

LG유플러스는 1000억원을 투입해 개인정보 유출 및 디도스 장애 재발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철훈 LG유플러스 대외전략담당 전무는 “보상은 결과가 아니라 앞으로의 시작을 알리는 활동”이라며 “신뢰 회복을 위해 더 진정성 있는 프로그램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디도스 공격을 당해 지난 1월 29일과 2월 4일 유선망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웹 관리자 계정 암호를 초기 암호 그대로 설정하는 등 고객 인증 데이터베이스(DB) 시스템의 취약성이 드러나면서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디도스 공격자가 누구인지를 규명하려 했지만 아직은 공격 주체나 유출 경로를 밝히지 못한 상태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