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시대' 글쓰기…"절대로 길게 쓰지 마라" [책마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마트 브레비티
짐 밴더하이 외 지음 / 윤신영·김수지 옮김
생각의힘 / 264쪽|1만8000원
거액에 뉴스사이트 판 저자들
"뉴스 1건 보는 시간은 15초
대부분 490단어까지만 읽어"
'온라인 글은 무조건 짧게' 제안
짐 밴더하이 외 지음 / 윤신영·김수지 옮김
생각의힘 / 264쪽|1만8000원
거액에 뉴스사이트 판 저자들
"뉴스 1건 보는 시간은 15초
대부분 490단어까지만 읽어"
'온라인 글은 무조건 짧게' 제안
오늘날의 글은 더 이상 글끼리 경쟁하지 않는다. 유튜브와 넷플릭스 그리고 틱톡과 싸운다. 자극적인 동영상 콘텐츠 이상의 이목을 끌어야 비로소 독자와 마주할 수 있다.
‘똑똑한 간결성’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스마트 브레비티(smart brevity)>에서 저자들은 문자 콘텐츠가 독자의 이목을 끌기 위해서는 내용뿐 아니라 서술 방식에도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콘텐츠 환경이 완전히 바뀌었음에도 200년 전과 비교해 달라지지 않은 텍스트 작성 방식이 문제라는 것이다.
지난해 9월 미국에서 출간된 <스마트 브레비티>는 언론계를 중심으로 여러 나라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내용도 파격적이지만 최근 미디어 산업에서 크게 성공한 매체들의 비결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짐 밴더하이 등을 필두로 한 세 명의 저자는 2007년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의 창업과 성장에 참여했다. 2017년에는 뉴스레터 서비스 악시오스를 함께 창업하기도 했다. 폴리티코는 10억달러, 악시오스는 5억2500만달러에 매각됐다. 언론계에서는 전례를 찾기 힘든 연속 창업에 성공한 것이다.
<스마트 브레비티>에서 소개하는 폴리티코와 악시오스의 성공 비결은 간결성이다. 폴리티코의 핵심 유료 서비스인 ‘폴리티코 프로’는 200개 단어, 악시오스는 300개 단어 이하로만 기사를 작성했다.
이 같은 서술 방식은 독자의 콘텐츠 소비 행태에 대한 면밀한 관찰의 결과다. 연구에 따르면 독자가 클릭한 콘텐츠를 읽는 데 소비하는 시간은 평균 15초에 불과했다. 스마트폰에서 뉴스 콘텐츠를 클릭한 독자의 80%는 490개 단어까지만 읽었다. “대부분의 텍스트는 ‘스캔’될 뿐 읽히지 않는다”는 것이 저자들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독자가 읽는 범위 내에서 콘텐츠가 완결되도록 가능한 한 짧고 간단하게 쓸 것을 저자들은 주문한다. 지금까지의 글쓰기 습관에 길들여진 사람들이 “글의 길이가 내용의 깊이 및 중요성과 비례한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긴 글은 작성자의 시간과 에너지를 빨아들이지만, 정작 독자는 이 같은 글의 대부분을 읽지 않는다. 꼭 필요한 단어만 남기고 불필요한 수식어는 삭제해야 한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글에서는 가장 먼저 ‘새로운 것(new)’과 ‘왜 읽어야 하는지(why)’를 독자에게 전달해야 한다. 저자들은 여섯 개 이하 단어로 구성되는 짧고 간결한 표제를 던지고, 다음에는 새로운 팩트를 한 문장으로 요약해 제시할 것을 요구한다. 뒤이어 ‘이 내용이 왜 중요한가(why it matters)’를 서너 문장 이내로 설명해야 한다. 글을 읽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빨리 결정하게 해주라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JP모간부터 미국프로농구(NBA) 사무국까지 <스마트 브레비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 방법을 업무에 도입하고 있다.
책에서는 여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어떻게 ‘똑똑한 간결함’을 다양한 텍스트에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간결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거보다 고민할 부분이 늘어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짜인 틀에 내용을 채워 넣는 과정인 만큼 글쓰기 시간은 짧아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스마트 브레비티>를 저술하면서도 자신들의 독특한 글쓰기 방법을 사용했다. 책을 읽는 동안 여기에 맞는 글쓰기 방법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다는 것도 책의 장점이다.
다만 번역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장점이 잘 전달되지 않았다. 책에 사용되는 문장이 간결해지고 압축된 만큼 번역 작업은 한층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본을 읽어보지 않는다면 이해하기 힘들거나 뜻이 통하지 않는 내용이 번역본에서 종종 발견된다.
예를 들어 ‘간결은 자신감이다. 장황은 두려움이다’는 구절은 ‘간결한 글은 자신감을 의미하고, 긴 글은 (충분한 내용을 전달하지 못했다는) 두려움을 의미한다’는 말로 풀어냈으면 어땠을까 싶다. 간결한 글쓰기가 궁금하다면 원본도 함께 보길 권한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똑똑한 간결성’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스마트 브레비티(smart brevity)>에서 저자들은 문자 콘텐츠가 독자의 이목을 끌기 위해서는 내용뿐 아니라 서술 방식에도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콘텐츠 환경이 완전히 바뀌었음에도 200년 전과 비교해 달라지지 않은 텍스트 작성 방식이 문제라는 것이다.
지난해 9월 미국에서 출간된 <스마트 브레비티>는 언론계를 중심으로 여러 나라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내용도 파격적이지만 최근 미디어 산업에서 크게 성공한 매체들의 비결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짐 밴더하이 등을 필두로 한 세 명의 저자는 2007년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의 창업과 성장에 참여했다. 2017년에는 뉴스레터 서비스 악시오스를 함께 창업하기도 했다. 폴리티코는 10억달러, 악시오스는 5억2500만달러에 매각됐다. 언론계에서는 전례를 찾기 힘든 연속 창업에 성공한 것이다.
<스마트 브레비티>에서 소개하는 폴리티코와 악시오스의 성공 비결은 간결성이다. 폴리티코의 핵심 유료 서비스인 ‘폴리티코 프로’는 200개 단어, 악시오스는 300개 단어 이하로만 기사를 작성했다.
이 같은 서술 방식은 독자의 콘텐츠 소비 행태에 대한 면밀한 관찰의 결과다. 연구에 따르면 독자가 클릭한 콘텐츠를 읽는 데 소비하는 시간은 평균 15초에 불과했다. 스마트폰에서 뉴스 콘텐츠를 클릭한 독자의 80%는 490개 단어까지만 읽었다. “대부분의 텍스트는 ‘스캔’될 뿐 읽히지 않는다”는 것이 저자들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독자가 읽는 범위 내에서 콘텐츠가 완결되도록 가능한 한 짧고 간단하게 쓸 것을 저자들은 주문한다. 지금까지의 글쓰기 습관에 길들여진 사람들이 “글의 길이가 내용의 깊이 및 중요성과 비례한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긴 글은 작성자의 시간과 에너지를 빨아들이지만, 정작 독자는 이 같은 글의 대부분을 읽지 않는다. 꼭 필요한 단어만 남기고 불필요한 수식어는 삭제해야 한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글에서는 가장 먼저 ‘새로운 것(new)’과 ‘왜 읽어야 하는지(why)’를 독자에게 전달해야 한다. 저자들은 여섯 개 이하 단어로 구성되는 짧고 간결한 표제를 던지고, 다음에는 새로운 팩트를 한 문장으로 요약해 제시할 것을 요구한다. 뒤이어 ‘이 내용이 왜 중요한가(why it matters)’를 서너 문장 이내로 설명해야 한다. 글을 읽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빨리 결정하게 해주라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JP모간부터 미국프로농구(NBA) 사무국까지 <스마트 브레비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 방법을 업무에 도입하고 있다.
책에서는 여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어떻게 ‘똑똑한 간결함’을 다양한 텍스트에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간결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거보다 고민할 부분이 늘어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짜인 틀에 내용을 채워 넣는 과정인 만큼 글쓰기 시간은 짧아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스마트 브레비티>를 저술하면서도 자신들의 독특한 글쓰기 방법을 사용했다. 책을 읽는 동안 여기에 맞는 글쓰기 방법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다는 것도 책의 장점이다.
다만 번역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장점이 잘 전달되지 않았다. 책에 사용되는 문장이 간결해지고 압축된 만큼 번역 작업은 한층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본을 읽어보지 않는다면 이해하기 힘들거나 뜻이 통하지 않는 내용이 번역본에서 종종 발견된다.
예를 들어 ‘간결은 자신감이다. 장황은 두려움이다’는 구절은 ‘간결한 글은 자신감을 의미하고, 긴 글은 (충분한 내용을 전달하지 못했다는) 두려움을 의미한다’는 말로 풀어냈으면 어땠을까 싶다. 간결한 글쓰기가 궁금하다면 원본도 함께 보길 권한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