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그룹들이 미국 내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차트에 대거 이름을 올렸다.17일 미국 시장조사업체 루미네이트(Luminate)는 '루미네이트 지수'를 공개했다.루미네이트는 미국 빌보드 차트에 음반 판매량 데이터를 공급하는 시장 조사 업체로, 올해 10월 아티스트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루미네이트 지수'를 신설했다.'루미네이트 지수'는 스트리밍 30%, 소셜 미디어 15%, 아티스트 인지도 25%, 대중적 매력 15%, 참여 점수(라이브 이벤트 및 라이브 스트리밍 티켓팅, 브랜드 참여 등) 15%로 구성된다.올해 3분기 '루미네이트 지수' 상위 250명 중 1위는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였다. 2위는 아델, 3위는 비욘세가 차지했다.해당 차트에는 총 8팀의 K팝 그룹이 이름을 올렸다. 가장 순위가 높은 그룹은 르세라핌으로 66위(72점)을 기록했다. 이어 스트레이 키즈 84위(70점), 뉴진스 97위(68점), 투모로우바이투게더 106위(67점), 있지 153위(61점), 트와이스 177위(60점), (여자)아이들 225위(56점), 블랙핑크 리사 235위(55점) 순이었다.K팝 그룹이 이름을 올린 건 미국 음악 소비자 사이에서 영향력이 커졌음을 나타낸다. 루미네이트는 구체적인 항목별 점수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미국 내 13~34세 여성을 대상으로 한정해 지수를 도출했을 때 비슷한 점수를 얻은 투모로우바이투게더(84점), 마일리 사이러스(82점), 올리비아 로드리고(82점)의 항목별 점수를 비교해 K팝 팬덤의 특징을 설명했다.이에 따르면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인지도와 스트리밍 점유율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팬들의 참여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모든 지표가 고른 흐름을 보인 팝스타들과 차이점이 두드러졌다. 이를 토대로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미국의 유명 모델이 "기생충 때문에 얼굴이 망가졌다"면서 근황을 전해 충격을 안겼다.미국 현지 매체들은 브랜디 그랜빌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재한 "얼굴의 필러를 모두 녹였다"는 게시물을 집중하여 보도했다.그랜빌은 앞서 "얼굴에 기생충이 움직인다"며 "비참하고 우울하다"는 주장을 했고, 이에 관해 성형외과 전문의 테리 듀브로가 얼굴 문제를 치료해주겠다고 공개적으로 제안했다.그랜빌은 지난해 10월 얼굴이 부어 기절해 병원으로 이송된 이후 주기적으로 이런 증상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치료를 위해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7만달러(한화 약 1억원)를 투자했으나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전했다.그랜빌은 고통을 호소하며 "기생충이 얼굴에 똥을 싸거나 알을 낳는 거 같다"며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이후 그랜빌의 주장에 이목이 쏠렸고, 듀브로는 미국 TMZ와 인터뷰에서 "글랜빌의 얼굴 문제는 기생충이나 그녀가 먹은 음식으로 인한 것이 아니다"며 "필러를 맞는 과정에서 감염 혹은 이물질 반응이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듀브로는 브랜빌의 얼굴에 대해 "시한폭탄"이라고 진단하면서 "외과적 개입이 필요하다"며 "미생물이 피부에 남아 잠재적인 손상을 입혀 더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시간이 갈수록 치료가 더 어려워지고 더 많은 흉터와 결절이 생길 수 있다"고 조언했다.이후 그랜빌은 SNS로 듀브로 박사와 연락을 주고받았고, 치료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한결 나아진 모습을 공개하면서 "의사들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계
국제 유가가 부진한 중국 경제 지표의 영향으로 16일(현지시간) 소폭 하락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를 앞두고 원유 시장도 한 차례 쉬어가는 분위기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거래일보다 0.81% 내린 배럴 당 70.7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북해산 브렌트유는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0.78% 하락한 배럴 당 73.91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중국국가통계국은 지난달 중국 소매판매가 전년 동월대비 3% 증가했다고 밝혔다. 10월 증가율인 4.8%보다 둔화했고 시장 예상치인 4.6%보다 낮은 수치다. 지난달 산업생산은 5.4% 늘어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1~11월 부동산 투자는 10.4% 감소했다. 쉬톈첸 블룸버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소비자 수요는 그 자체로 강하지 않으며 여전히 월별 소매 판매의 약 1.5~2%포인트를 기여한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유가도 중국 경제의 부진을 반영하고 있다. 미즈호 미주지사의 밥 야거 에너지선물 디렉터는 "중국은 역사적으로 (원유의) 글로벌 수요 엔진이었다"라며 "하지만 경제가 둔화하고 전기차 판매가 증가하면서 지난해 수요 증가율이 극적으로 둔화했다"고 지적했다. 석유중개업체 PVM의 존 에반스 분석가는 "중국 소비자들은 어떤 경기 부양책이 투입되든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개인소비 행태에 중대한 변화가 없다면 중국 경제는 둔화하는 운명을 맞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수요에 대한 우려가 러시아와 이란에 대한 제재 강화 위협을 능가하면서 유가는 하락세를 보였다"라고 평가했다. 지난 13일 WTI 가격은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