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끌어모으는 中…증산하고 수입처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리오프닝 수요 늘자 시추 확대
제재국 이란·아프간 등과 거래
원유 지렛대로 외교 입지 넓혀
제재국 이란·아프간 등과 거래
원유 지렛대로 외교 입지 넓혀
중국이 국내 시추를 확대하고 원유 수입국을 다변화하는 등 수급처를 다각화하고 있다. 올해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늘어난 원유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서다. 중국 내 원유 수요를 외교 입지를 넓히는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은 리오프닝으로 인해 급증한 원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급처를 다각화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원유 수요는 작년보다 4% 증가한 하루 1580만 배럴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2000년 후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늘어난 수요를 맞추기 위해 중국은 국내 원유 시추량을 늘리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내 원유 생산량은 1820만t으로 집계됐다. 2014년 12월 후 최대치다. 중국은 원유 통계를 계산할 때 배럴(부피) 대신 t단위(중량)를 사용한다. 원유의 성분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입처도 늘리고 있다. 중국은 원유 수요의 70%를 수입에 의존한다. 국내 생산만으로는 수요를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의 최근 이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과 연달아 원유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이 원유 수급처를 다각화한 배경엔 에너지 안보도 있다. 지난해 2월 전쟁으로 인해 국제 유가가 요동치자 중국 당국은 국내 생산량과 비축량을 늘리기 시작했다. 해외 유전도 적극적으로 개발해 안정적으로 에너지원을 확보하겠다는 심산이다.
중국이 원유를 지렛대 삼아 외교 입지를 키우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은 올해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 주로 서방의 제재를 받는 산유국과 연달아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산유국 입장에선 제재를 우회하고, 중국은 국제 유가보다 저렴하게 원유를 수급하려는 것이다. 엠마 리처드 BMI 애널리스트는 “중국이 중동 에너지 시장에 더 깊이 침투해서 이 지역 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은 리오프닝으로 인해 급증한 원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급처를 다각화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원유 수요는 작년보다 4% 증가한 하루 1580만 배럴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2000년 후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늘어난 수요를 맞추기 위해 중국은 국내 원유 시추량을 늘리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내 원유 생산량은 1820만t으로 집계됐다. 2014년 12월 후 최대치다. 중국은 원유 통계를 계산할 때 배럴(부피) 대신 t단위(중량)를 사용한다. 원유의 성분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입처도 늘리고 있다. 중국은 원유 수요의 70%를 수입에 의존한다. 국내 생산만으로는 수요를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의 최근 이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과 연달아 원유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이 원유 수급처를 다각화한 배경엔 에너지 안보도 있다. 지난해 2월 전쟁으로 인해 국제 유가가 요동치자 중국 당국은 국내 생산량과 비축량을 늘리기 시작했다. 해외 유전도 적극적으로 개발해 안정적으로 에너지원을 확보하겠다는 심산이다.
중국이 원유를 지렛대 삼아 외교 입지를 키우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은 올해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 주로 서방의 제재를 받는 산유국과 연달아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 산유국 입장에선 제재를 우회하고, 중국은 국제 유가보다 저렴하게 원유를 수급하려는 것이다. 엠마 리처드 BMI 애널리스트는 “중국이 중동 에너지 시장에 더 깊이 침투해서 이 지역 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