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美 긴축사이클 종료 가까운 듯…금리인하 논의 이르다" [강진규의 외환·금융 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일 "미국의 긴축 사이클이 종료에 가까운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의 금리 조정 여부에 대해선 "데이터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개회식을 앞두고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한국시간으로 4일 새벽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연다. 이날 회의에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높이는 베이비스텝을 단행할 것이란 예상이 많다.
이 총재는 "대부분 국가가 인플레이션은 정점에 달했지만 근원물가지수는 끈적한(sticky) 상태"라며 한 진단했다. 한국은 4월 물가상승률이 3.7%로 내려왔지만 목표(2%) 수준 보다는 높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한국이 금리 인상을 멈춘 것에 대해선 "지난 1년 반 동안 아주 빠른 속도로 금리를 300bp 올렸기 때문에 그 영향을 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시장의 피봇(금리 인하로 정책 전환) 기대에 대해서는 "아직 피봇 가능성을 언급하기는 이르다"는 기존의 입장을 다시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인터뷰에서 경제전망 하향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데이터를 좀 더 봐야겠지만 약간 하향될 수 있다"며 "중국의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점이 관건인데, 중국 관련 데이터가 더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통위원들도 반도체 경기 회복이 지연되는 점을 거론하며 '상저하고'의 경기 회복전망에 의문을 제기한 것과 유사한 판단으로 파악된다.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등 미국 지역은행 파산의 영향에 관해서는 "한국은 익스포저가 적어 영향을 덜 받았다"고 답했다. 가상자산과 관련해서는 중앙은행의 규제권이 필요하다고 봤다. 특히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엔 중앙은행이 권한을 갖는 경우가 세계적으로 많다고 덧붙였다.
최근 원화 약세와 관련해서는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 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면서도 "미국의 통화정책 전망을 고려할 때 원화 약세 압력은 약해질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내다봤다.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을 꼽았다. 수출 중심의 아시아 국가들은 공급망 변동 등 환경 변화에 대비가 돼야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개회식을 앞두고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한국시간으로 4일 새벽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연다. 이날 회의에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높이는 베이비스텝을 단행할 것이란 예상이 많다.
이 총재는 "대부분 국가가 인플레이션은 정점에 달했지만 근원물가지수는 끈적한(sticky) 상태"라며 한 진단했다. 한국은 4월 물가상승률이 3.7%로 내려왔지만 목표(2%) 수준 보다는 높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한국이 금리 인상을 멈춘 것에 대해선 "지난 1년 반 동안 아주 빠른 속도로 금리를 300bp 올렸기 때문에 그 영향을 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시장의 피봇(금리 인하로 정책 전환) 기대에 대해서는 "아직 피봇 가능성을 언급하기는 이르다"는 기존의 입장을 다시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인터뷰에서 경제전망 하향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데이터를 좀 더 봐야겠지만 약간 하향될 수 있다"며 "중국의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점이 관건인데, 중국 관련 데이터가 더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통위원들도 반도체 경기 회복이 지연되는 점을 거론하며 '상저하고'의 경기 회복전망에 의문을 제기한 것과 유사한 판단으로 파악된다.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등 미국 지역은행 파산의 영향에 관해서는 "한국은 익스포저가 적어 영향을 덜 받았다"고 답했다. 가상자산과 관련해서는 중앙은행의 규제권이 필요하다고 봤다. 특히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엔 중앙은행이 권한을 갖는 경우가 세계적으로 많다고 덧붙였다.
최근 원화 약세와 관련해서는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 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면서도 "미국의 통화정책 전망을 고려할 때 원화 약세 압력은 약해질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내다봤다.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을 꼽았다. 수출 중심의 아시아 국가들은 공급망 변동 등 환경 변화에 대비가 돼야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