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장한 K엔터…美에 ETF도 상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ETF
작년 8월 말 'KPOP' 등장글로벌 ETF
작년 8월 말 'KPOP' 등장글로벌 ETF
테마형 상장지수펀드(ETF)는 성장 중인 산업에 투자할 때 큰 효과를 발휘한다. 산업에 속한 기업들이 동시에 오르는 모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업 간 경쟁이나 기술력 차이에 의한 주가 차별화보다는 시장 규모 자체가 커질 때 ETF는 그야말로 아주 유용한 수단이다.
그런 조건에 걸맞은 테마 ETF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다. 엔터 시장 규모가 큰 미국의 빌보드 메인 차트에 한국 아이돌 그룹이 진입하는 빈도수가 잦아지고 있다.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글로벌 비즈니스화하며 체급을 키우고 있다.
이런 흐름을 타고 미국 시장에도 작년 8월 말 한국 엔터테인먼트 테마를 주제로 한 테마 ETF가 상장됐다. 미국 시장에서 한국의 지수나 업종이 아닌 특정 테마가 상장됐다는 것은 한국의 대중문화가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투자 테마로 삼을 만큼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종목코드는 ‘KPOP’이고 종목명은 ‘KPOP & Korean Entertainment’ ETF다. 이름처럼 한국의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관련주에 투자한다. 현재 약 38억원의 총자산 규모를 갖추고 있다. 운용보수는 연 0.75%다. 종목별 보유 비중은 엔터주(하이브 12%, JYP엔터 11%, SM엔터 10%, YG엔터 5%), 플랫폼(카카오 9%, 네이버 9%), 콘텐츠 제작(위지윅스튜디오 5%, 스튜디오드래곤 5%) 등이다. K팝 관련 회사 비중이 높기 때문에 K팝 관련 모멘텀에 집중하는 ETF라고 할 수 있다.
KPOP ETF는 연초 한국 증시 반등과 더불어 국내 엔터주 지배구조 이슈가 맞물리며 투자자 관심과 매수세가 쏠렸다. 최근 차익이 실현되며 연초 이후 4% 수준의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국내에도 미디어·엔터 테마 ETF가 상장돼 있으나 플랫폼과 게임주, 엔터 주식 비중을 어떻게 구성했는가에 따라 KPOP ETF와의 차별화가 나타날 수 있다.
미국에 상장돼 있기 때문에 달러로 한국의 K팝 테마의 성장성에 베팅하고 싶은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이다. 3개월 평균 거래량이 800주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임은혜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
그런 조건에 걸맞은 테마 ETF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다. 엔터 시장 규모가 큰 미국의 빌보드 메인 차트에 한국 아이돌 그룹이 진입하는 빈도수가 잦아지고 있다.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글로벌 비즈니스화하며 체급을 키우고 있다.
이런 흐름을 타고 미국 시장에도 작년 8월 말 한국 엔터테인먼트 테마를 주제로 한 테마 ETF가 상장됐다. 미국 시장에서 한국의 지수나 업종이 아닌 특정 테마가 상장됐다는 것은 한국의 대중문화가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투자 테마로 삼을 만큼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종목코드는 ‘KPOP’이고 종목명은 ‘KPOP & Korean Entertainment’ ETF다. 이름처럼 한국의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관련주에 투자한다. 현재 약 38억원의 총자산 규모를 갖추고 있다. 운용보수는 연 0.75%다. 종목별 보유 비중은 엔터주(하이브 12%, JYP엔터 11%, SM엔터 10%, YG엔터 5%), 플랫폼(카카오 9%, 네이버 9%), 콘텐츠 제작(위지윅스튜디오 5%, 스튜디오드래곤 5%) 등이다. K팝 관련 회사 비중이 높기 때문에 K팝 관련 모멘텀에 집중하는 ETF라고 할 수 있다.
KPOP ETF는 연초 한국 증시 반등과 더불어 국내 엔터주 지배구조 이슈가 맞물리며 투자자 관심과 매수세가 쏠렸다. 최근 차익이 실현되며 연초 이후 4% 수준의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국내에도 미디어·엔터 테마 ETF가 상장돼 있으나 플랫폼과 게임주, 엔터 주식 비중을 어떻게 구성했는가에 따라 KPOP ETF와의 차별화가 나타날 수 있다.
미국에 상장돼 있기 때문에 달러로 한국의 K팝 테마의 성장성에 베팅하고 싶은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이다. 3개월 평균 거래량이 800주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임은혜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