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콘퍼런스…"선제적 금리인하 여지는 작다"
S&P "올해 아태 지역 경제 성장 3.8%로 둔화 전망"(종합)
글로벌 경기 위축 영향에 따른 성장세 둔화로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 3.8%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루이 커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아태지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4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국제금융센터 주최로 열린 국제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콘퍼런스 주제는 '글로벌 통화 긴축의 후폭풍 :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이 직면한 위기'로,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프로그램의 하나로 진행됐다.

커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과 유럽의 경제 성장 둔화가 글로벌 경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도, 여전히 근원물가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국 정책금리가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중국을 제외한 아태지역 경제 성장률이 지난해 4.7%에서 올해 3.8%로 둔화할 것이라며, 미국의 고금리 환경 속 대외적자가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취약성을 높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 경제는 부동산 부문이 저점을 지난 가운데 소비 주도의 회복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인구 고령화, 미국 등과의 디커플링 등 중장기적 역풍으로 회복세가 지속 가능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커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아태지역 성장률이 둔화하겠지만, 이 지역국가들이 정책금리를 빠르게 인하할 여지는 크지 않다고 봤다.

그는 "뉴질랜드, 인도, 호주 등을 제외하면 아태지역은 미국만큼 물가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며 "한국 등 일부 국가에서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그 속도가 더디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정책금리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된다면 (금리차에 따른) 외환시장 영향이 있을 수 있다며 "특히 아태지역 다수국가가 경상수지 적자로 돌아선 상황이라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인하하기에) 생각이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S&P "올해 아태 지역 경제 성장 3.8%로 둔화 전망"(종합)
킴 엥 탄 S&P 상무는 아태지역 국가 신용도 추이가 대체로 안정적이지만 스리랑카·피지·태국·일본·호주 등 일부 국가에서 정부부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베라 채플린 S&P 전무는 아태지역 은행 산업이 조달 비용 증대와 서구은행 불안의 충격을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채플린 전무는 은행권 신뢰 문제가 미국 지역은행을 넘어 글로벌로 확산하면 신용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크리스 리 S&P 전무는 아태지역 기업 신용도가 지난해 중국 부동산발 디폴트 불안 등에서 벗어나 안정을 찾고 있다고 평가했다.

단 국가별로는 일본 기업, 산업 별로는 게임·헬스케어·부동산 개발 등에서 부정적 신용등급전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밝혔다.

이용재 국제금융센터 원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통화 긴축발 영향이 은행권을 넘어 주요국 민간·공공부채, 부동산시장, 비은행 산업 등 다양한 부문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한 충격이 가시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 불안 속에서 최근 투자자들은 아시아를 안전처로 평가하고 있으나 아시아지역 국가들도 글로벌 리스크 전이 등 위험 요인을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축사를 통해 유동성 긴축으로의 전환, 경제적 분절화 등 '파고'가 있지만 "아태지역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방 차관은 "강력한 펀더멘탈을 바탕으로 아태지역 경제는 부활 기대를 창출하는데 집중해야 한다"며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아태 공동 번영 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