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Fed)이 3일(현지시간) 또 한 차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자 시장에서는 “Fed 긴축 사이클이 종착역에 도달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인상으로 기준금리(연 5.0~5.25%) 상단이 점도표의 최종금리(연 5.1%)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그러나 기자회견에서 긴축 사이클 종료 여부 및 금리 인하 시점과 관련해 확답을 주진 않았다. 이 때문에 ‘Fed의 긴축 편향은 여전하다’와 ‘이제 긴축은 끝났다’는 상반된 해석이 나왔다.
○긴축 중단과 지속 동시 표현
Fed는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발표한 정책 결정문에 변화를 줬다. 직전 회의인 3월 결정문에 있던 ‘추가적인 긴축 정책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문구를 뺐다. 대신 ‘추가 긴축이 적절한지를 결정할 때 긴축의 누적 효과와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할 것’이라는 표현을 넣었다.
일각에서는 이를 금리 인상 중단 신호로 받아들였다. Fed가 2006년과 2019년 긴축을 중단할 때도 비슷한 문구를 썼기 때문이다. 샘 스토벌 CFRA 수석투자전략가는 “‘예상’ 대신 ‘결정’이란 단어를 사용한 FOMC 성명을 통해 Fed가 긴축을 일시 중단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투자회사 오안다의 에드 모야 분석가는 “오늘 금리 인상이 (이번 사이클의) 마지막이 될 것 같다”며 Fed가 최소 연말까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정례회의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예상) 문구를 제거한 것은 의미있는 변화”라면서도 “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결정은 오늘 내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노동 수요가 여전히 공급보다 많고, 인플레이션도 다소 둔화했지만 물가 목표치(2%)를 웃돈다”며 “더 큰 긴축이 타당하다면 그렇게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하는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그는 “FOMC는 물가가 빠르게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며 “그 예측이 맞는다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월가도 의견 분분
이날 FOMC 결정에 대한 월가의 반응은 엇갈린다. 제이 브라이슨 웰스파고 수석이코노미스트는 “FOMC가 ‘매파적 일시정지(hawkish pause)’를 예고했다”며 “인플레이션 위험에 주의한다고 거듭 강조한 만큼 금리를 다시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도 “Fed가 인플레이션 위험성을 매우 경계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매파적인 중단(hawkish hold)’이라고 봐야 한다”며 “지역은행 리스크가 완화되고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6월에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반론도 만만찮다. 모건스탠리는 “Fed가 더 이상 추가 긴축이 필요없다고 보고 있으며 ‘여러 여건과 상황을 고려할 것’이라는 조건을 달아 인상 중단을 시사했기 때문에 대체로 비둘기파적(dovish)”이라고 해석했다. ING도 “Fed가 금리 인상을 정당화하는 Fed의 임계치가 높아졌다는 신호를 보냈다”며 “은행 대출 기준이 급격히 강화되고 있어 이번 인상으로 기준금리의 정점을 찍었다고 본다”고 했다.
피벗을 예상하는 의견도 적지 않다.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신용 여건의 긴축이 Fed의 생각보다 훨씬 더 급격하게 경기 둔화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 때문에 Fed가 올해 후반에 시장 예상보다 더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50년간 Fed는 금리 인상을 끝내고 평균 6개월 뒤 금리 인하로 선회했다. 이번 FOMC가 마지막 금리 인상이라면 올 11월 전후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1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발표를 위한 기자회견을 예고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멋진 3주였고 아마도 역대 최고였을 것이다. 하지만 오늘은 중요한 날이다. 상호관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라고 밝혔다. 뒤이어 올린 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오후 1시(한국시간 14일 오전 3시) 오벌오피스(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에 대한 기자회견이 열린다"고 덧붙였다. 전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언론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발표 일정에 대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13일(미동부시간)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발표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상호 관세는 각국이 미국 상품에 적용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상대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뜻한다.현재로서는 어떤 형태로, 어느 정도 부과될지 불분명하지만 미국과 세계의 통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지난달 취임 이후 무역전쟁을 본격화한 트럼프 대통령은 고율관세를 내세워 교역 상대국들을 압박하고 통상 불균형 해소를 추진해왔다.지난 4일 중국에 10%의 추가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10일에는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예외 없이 25%의 관세를 내달 12일부터 부과하기로 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1월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도매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진다.13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1월 미국의 PPI 상승률은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3%)를 웃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3.5%였다.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월 대비 0.3%로 역시 전망치(0.2%)를 웃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4% 상승했다.미 노동부는 최종수요 재화 가격이 전월 대비 0.6% 올라 강세를 보인 게 1월 전체 생산자물가 상승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에너지 가격 상승률이 작년 12월 2.2% 오른 데 이어 1월 들어서도 1.7% 오르며 여전히 재화 가격 상승에 크게 기여했고, 특히 디젤 가격 10.4% 상승이 재화 가격이 오른 주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식품 가격도 전월 대비 1.1% 올라 재화 가격 상승 요인이 됐다.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은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일본 여성을 상대로 미국 원정 성매매를 알선한 40대 한국인 남성이 일본에서 체포됐다.13일 후지뉴스네트워크(FNN)는 일본 내 인력 모집 회사에 근무하는 한국 국적자 A씨가 20대 일본인 여성 B씨에게 미국 내 매춘을 소개해 준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고 보도했다.일본 경시청 발표에 따르면 A씨는 2023년 일본 오사카부 신사이바시의 한 길거리에서 B씨에게 접근해 "예쁘시네요. 무슨 일을 하느냐. 해외에서 돈 버는 일을 소개해 줄 수 있다"고 제안했다.B씨는 제안에 응했고, 미국 수도 워싱턴DC에서 성매매로 한 달 최대 960만엔(한화 약 9000만원)을 번 것으로 파악됐다고 FNN은 전했다.경찰 조사에서 A씨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며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