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전국 초등학교 5곳 중 1곳은 전교생 60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인 것으로 나타났다. 30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도 500개교 이상이었다.

7일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 연보를 보면 지난해 전교생 60명 이하 학교(이하 분교 제외)는 1362개교로 집계됐다. 전체 초등학교 6163개교 가운데 22.1%에 해당한다.

20년 전인 2002년(548개교)과 비교하면 전교생 60명 이하 초등학교는 2.5배 늘었다. 전체 초등학교 가운데 60명 이하 초등학교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2년 10.2%에서 2배 이상 확대됐다. 전교생 60명 이하 초등학교가 많은 지역은 전북으로 203개교에 달했다. 그다음은 경북(201개교), 전남(199개교) 순이었다.

광역시의 경우 60명 이하 초등학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대구·세종(각 2개교), 서울 4개교, 대전·울산 7개교, 광주 9개교 등 대부분 광역시엔 60명 이하 소규모 학교가 한 자릿수에 그치는 등 지역별 편차가 있었다.

전교생이 30명 이하인 초소형 초등학교도 늘어나고 있다. 전교생 30명 이하인 초등학교는 지난해 512개교로, 전체 초등학교 가운데 8.3%를 차지했다. 2002년 기준 전교생이 30명 이하인 초등학교는 118곳에 불과했지만 20년 새 4배 이상 불어났다.

소규모 학교가 늘어나는 것은 저출산에 따른 학령 인구 감소의 영향이 크다. 통계청에 따르면 만 6∼11세 초등학교 학령인구는 2002년 419만2000명에서 지난해 270만1000명으로 35.6% 감소했다. 학령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수도권 집중도도 심화하며 소규모 학교는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소규모 학교는 교직원이 적어 교원 1명이 처리하는 업무가 많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 운영, 교실 수업, 학생 상담·지도 등 학생 지도에 쏟을 시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소규모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지원이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24일 교육부는 중장기 교원수급계획을 발표하며 인구감소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 학교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교원을 배치해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신도시 등 인구가 유입되는 지역엔 교원을 별도로 확보해 과밀학급을 줄이겠다고 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