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국방부는 트위터에 화염에 휩싸인 도시를 찍은 영상 한 편을 올리면서 러시아가 바흐무트의 비점령 지역에 백린탄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 사진=우크라이나 국방부 트위터 캡처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트위터에 화염에 휩싸인 도시를 찍은 영상 한 편을 올리면서 러시아가 바흐무트의 비점령 지역에 백린탄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 사진=우크라이나 국방부 트위터 캡처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동부 격전지 바흐무트에서 백린탄을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인명 살상용 백린탄은 인체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악마의 무기'로 불린다.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위터 계정에 화염에 휩싸인 도시를 찍은 영상 한 편을 올리며 러시아가 바흐무트의 비점령 지역에 백린탄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이 영상을 분석한 영국의 BBC는 "촬영 시점은 불분명하지만, 장소는 바흐무트 도심 서쪽의 어린이 병원 인근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고층 건물이 불길에 타오르는 모습도 영상에 담겼는데, 이 영상은 드론으로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BBC는 아울러 공격에 소이탄의 일종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됐지만, 백린 사용 여부까지 특정할 수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백린탄의 원료 백린은 공기와 접촉하면 자연 발화할 수 있다. 조명탄·연막탄에도 백린이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인명 살상용 백린탄은 화재나 화염을 이용해 목표물을 파괴하는 소이탄의 일종이다. 쉽게 말해 주변을 불태워 버리는 무기다.

원료 자체가 맹독성인데다 산소와 접촉해 불이 붙으면 엄청난 열과 섬광·연기가 발생해 인체에 치명적이다. 일단 불이 붙으면 물도 소용없다. 산소를 차단하거나 전부 연소하기 전까지 계속 타들어 가는 특성이 있다.

이런 위험성 때문에 소이탄을 민간인 거주 지역이나 민간인 밀집 시설에서 사용하는 것은 국제법상 금지돼있다. 이런 금지 조항은 1949년 제네바협약과 1980년 유엔 특정재래식무기금지협약(CCW) 등에 포함됐다. 이 협약에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미국, 중국 등 거의 모든 주요국이 비준했다. 하지만 백린탄은 주목적이 '연막 형성'에 있기 때문에 소이탄과 달리 국제규범 통제의 바깥에 있다는 지적이 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트위터에 화염에 휩싸인 도시를 찍은 영상 한 편을 올리면서 러시아가 바흐무트의 비점령 지역에 백린탄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 사진=우크라이나 국방부 트위터 캡처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트위터에 화염에 휩싸인 도시를 찍은 영상 한 편을 올리면서 러시아가 바흐무트의 비점령 지역에 백린탄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 사진=우크라이나 국방부 트위터 캡처
우크라이나는 작년 개전 초기부터 러시아가 마리우폴 포위 등 과정에서 민간 시설에 백린탄을 썼다고 비난해왔지만, 러시아는 줄곧 "국제 협약을 위반한 적 없다"며 부인했다.

BBC는 소이탄 공격을 받은 바흐무트가 전략적인 가치가 있는 곳인지 의심스럽기는 하지만 러시아가 수개월에 걸쳐 장악을 시도해온 격전지이며, 러시아 사망자만 수천명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격 소식은 러시아의 민간 용병기업 바그너 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탄약 부족 등 러시아 국방부의 지원 부족을 이유로 오는 10일 바흐무트에서 철수하겠다고 밝힌 이튿날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대반격'을 예고하면서 전운이 감돌고 있다. BBC는 우크라이나의 공격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러시아가 80% 정도를 장악한 자포리자 지역을 꼽았다. 러시아가 내세운 자포리자 주지사는 지난 5일 전선 인근 마을에 대피령을 내린 바 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