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않는 심청, 토끼 잊은 별주부…과거 끊고 미래로 간 '절창'
눈 먼 아비의 눈을 뜨게 하려고 바닷물에 몸을 던지는 심청, 토끼가 어떻게 생긴 줄도 모르지만 용왕을 위해 토끼 간을 구하겠다고 뭍으로 나가는 별주부.

누구나 다 아는 이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가진 공통점이 있다. 바다에서 벌어진 일이라는 것, 그리고 ‘남을 위해 기꺼이 나를 희생하는 캐릭터’라는 점이다.

국립창극단이 3년 간 이어온 '절창 시리즈'의 마지막회인 '절창 Ⅲ'이 지난 6일과 7일 양일간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무대에 올랐다. 심청가와 수궁가 대목들을 씨줄과 날줄처럼 90분간 엮어낸 이 작품은 객석을 가득 메운 관객들로부터 양일간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울지 않는 심청, 토끼 잊은 별주부…과거 끊고 미래로 간 '절창'
'범 내려온다'로 유명한 이날치의 보컬 안이호(44)와 국립창극단의 중견배우 이광복(40)이 쏟아낸 소리들은 시종일관 팽팽한 긴장감을 불어넣었다. 재치 넘치는 입담이 곳곳에 더해져 객석은 내내 울고 웃었다. 무엇보다 돋보인 건 연출가의 상상력이 더해진 각색. '충'의 상징 별주부와 '효'의 상징 심청이 맹목적인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노래했다는 점에서 큰 공감과 갈채를 받았다.

바다에서 만난 심청과 별주부에 무슨 일이


극은 사나운 바람이 부는 바닷가의 어두컴컴한 밤, '심청 물 빠지는 대목'에서 시작한다. 인당수에 몸을 던지는 애처로운 심청의 노래, 뱃사람들의 가락은 이광복의 섬세하고 진정성 있는 목소리로 전해졌다. 이어 안이호가 등장하며 극장은 깊은 바다 수궁으로 자리를 옮긴다. 안이호는 몹쓸 병에 걸린 용왕의 우스꽝스러운 모습과 어려운 한의학 정보를 나열하며 진맥하는 도사의 역할을 능청스러운 독창으로 매끄럽게 끌고 나갔다.
울지 않는 심청, 토끼 잊은 별주부…과거 끊고 미래로 간 '절창'
하이라이트는 3막이었다. '별주부의 집-심청의 꿈' 장면에서 드디어 만난 별주부와 심청. 서로의 처지를 딱하게 여기다 심청은 별주부에게 불현듯 '세기의 딜'을 청한다.

"나도 이제 내 인생 한번 살아 볼랍니다. 나를 뱃사람들한테 데려가주면 내가 시장 가서 토끼 간 구해다 줄 테니, 같이 갑시다."

이 말은 들은 별주부는 답한다. "콜!"

심청을 등에 업고 뭍으로 헤엄쳐 나가던 별주부는 그제서야 주변을 샅샅이 둘러보며 깨닫는다. '그 동안 내가 바다에 사는 줄 알았는데, 우물에 살던 것이구나. 용궁을 벗어난 바다는 이렇게도 아름다운 곳이었구나.'

안이호와 이광복이 각각 별주부와 심청이 되어 주고 받는 2인극이 절정에 오르자 객석에선 "잘한다", "얼씨구"하는 추임새가 절로 터져 나왔다.
울지 않는 심청, 토끼 잊은 별주부…과거 끊고 미래로 간 '절창'
심청을 뭍에 데려다준 별주부는 토끼 간을 까맣게 잊은 채 바다로 유유히 떠난다. 연꽃에서 다시 피어난 심청은 황제와 신하들로부터 황후가 되어줄 것을 요구 받지만, 부귀영화를 마다하고 오직 맹인 잔치를 열어달라 말한다. 눈 앞에 아버지를 보고 '왜 아직도 눈을 못 뜨셨느냐'고 울부짖던 심청. 정작 아버지가 눈을 뜨자 심청은 아버지를 끌어안고 오열하는 대신, 궁 밖으로 천천히 걸어나간다. 마치 별주부가 자유를 찾아 바닷 속으로 돌아간 것처럼.

'심봉사'는 아동방임죄, 뱃사람들은 자살방조죄?

"시대의 공감을 얻기 위해 충과 효라는 프레임 안에서 심청과 별주부를 꺼내주고 싶은 갈증이 있었다"는 이치민 연출의 의도는 여러 장면에서 드러났다.

수궁가 대목을 맡은 안이호는 "요즘 같았으면 심학규(심청 아버지)는 아동방임죄, 뱃사람들은 자살방조죄다"라고 말하는가 하면, 한의학 용어를 어렵게 나열하는 약성가를 부르다 "병원 처방전이나 옛날 명의들이나 다를 게 없네, 뭔 소린 지 모르겠어. 그냥 한 마디로 하면 될 것을!"이라며 해학과 풍자로 받아쳤다. 두 배우는 재치있는 몸짓은 물론 옆에 앉은 고수와 타악 연주자들을 적절히 끌어들이며 애드리브를 구사했다.

현대적인 옷을 입은 '절창 Ⅲ'는 소리만큼은 판소리 원형을 그대로 살렸다. '다시 없을 명창'이라는 뜻을 가진 '절창'의 타이틀 답게 오로지 두 배우의 목소리만으로 심청 어미와 심청 아비의 소리를 낼 땐 객석 곳곳에서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선율 악기의 사용을 배제하고 북과 장구, 징 등 타악기를 추가해 장단에 변화와 사운드 디자인을 활용했다. 모던한 무대 디자인과 절제된 조명은 한 편의 SF 장르를 연상시켰다.
울지 않는 심청, 토끼 잊은 별주부…과거 끊고 미래로 간 '절창'
2021년 처음 시작한 국립극장의 '절창'시리즈는 성과와 과제를 동시에 안겼다. 뛰어난 연출과 가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독해가 어려운 판소리의 가사들은 숙제다. 무대 한켠 자막으로라도 처리됐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세 번의 시리즈가 국내 공연예술에 남긴 의미는 크다. 고전을 비틀어 현재에 다가간다는 가장 어려운 산을 넘었다. 20~40대의 뛰어난 소리꾼들과 연출가의 기량이 어우러진 덕이다. 앞선 두 편의 절창은 관객들의 성원으로 올해 앙코르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다시 없을 명창 6명의 소리가 앞으로 끊이지 않고 다시 불려지길 바라는 관객이 늘었다는 것이 가장 큰 성과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