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함께 단상에 올라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함께 단상에 올라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은 9일 한국과 미국, 일본이 북한 미사일 정보의 실시간 공유를 위한 3국 협의체를 조속히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한미일 미사일 정보의 실시간 공유는 지난해 11월 3국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바 있다"며 "현재 세 나라 군 당국이 체계를 만들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가까운 시일 내에 체계를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한미일 정상은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3자 회담에서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의 실시간 공유에 합의한 바 있다.

'미사일 경보 정보'는 발사 원점과 비행 방향, 탄착 지점 등을 의미하며, '미사일 정보'는 여기에 더해 탐지·추적 정보, 교전 정보 등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언급한 3국 공유 대상도 '미사일 경보 정보'를 뜻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내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릴 한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일 안보협의체'가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한미 간 핵협의그룹(NCG)에 일본이 참여하는 형식은 당장은 아니겠지만, 그 중점을 핵억제 협의체의 틀에 둔다면 (향후) 가능성이 없다고 할 수는 없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일단은 현재는 한미 간 핵협의그룹과 '워싱턴선언'을 실효적으로 이행하는 데 한미 양국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