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블라인드 인터뷰


연초 中리오프닝주 강력하게 추천한 애널리스트, 투자 전략 수정
"정치적 이슈, 예단하기 어렵지만…이번 정권서 中테마 어려워"
中 본토 투자 전략은 유효…상대적으로 덜 오른 종목 찾아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연초까지만 하더라도 중국 관련주를 최선호 테마로 꼽았습니다. 중국 리오프닝을 통한 낙수 효과가 클 것이란 분석에서죠. 하지만 상황이 변했습니다. 현 정부에선 중국 관련주가 힘을 쓰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차라리 중국의 리오프닝 테마주보단 중국 현지 핵심 수혜 기업들을 직접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에 대해 강력하게 매수를 추천했던 애널리스트 A씨가 중국 테마에 대한 투자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동안 시장에서 주목받았던 면세점을 비롯해 카지노, 화장품 업종에 대해 투자를 멈출 때라고 조언한다. 그는 중국 증시에서 리오프닝 효과가 명확한 종목을 찾거나 선진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덜 오른 업종을 찾으라고 말한다.

A씨는 최근 냉랭해진 한·중관계를 이야기하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를 보기도 전에 양국관계가 틀어짐에 따라 기존 투자 전략의 전면적 수정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그는 "현 정부 들어 미국·일본과는 급속도로 가까워졌지만, 중국과는 다소 거리를 두고 있는 양상이 짙어지고 있다"면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와 코로나19 사태에 이어 다시 정치적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더군다나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추진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은 호텔신라 등 중국 관련 소비주의 투자심리를 악화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A씨는 "미국 IRA는 장기적으로 중국 의존도를 줄임에 따라 장기적으로 2차전지 등 국내 관련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되나, 이로 인해 중국과 지속적으로 정치적 잡음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 과정에서 국내 소비주 중심의 중국 관련주에는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A씨는 현재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 투자를 추천하질 않았다. 차라리 중국 현지에서 투자처를 발굴하라는 조언하고 있다. A씨는 "외국계 증권사들은 연초에 중국인들이 역대 최대 저축률을 보이는 등 중국인들의 소비에 집중하라고 분석했는데, 한국 기업들은 큰 수혜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다만 중국 본토에서 신뢰할 수 있는 펀더멘털을 보유한 중국기업을 노리는 전략은 아직 유효하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본토 기업에 투자하려면 몇 가지 기준을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첫째 리오프닝 효과를 보는 업종인지, 둘째 기업 펀더멘탈이 탄탄한 지, 셋째 선진국의 동종 업종 대비 기업가치가 저평가됐는 지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A씨는 "중국 내 반도체나 의류, 보석류 등의 관련 업종의 주가가 괜찮은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반도체의 경우 중국 정부 보조금 지급의 호재가 있는 지 여부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증시에서 피해야 할 종목으로 호텔신라와 롯데관광개발을 언급했다. 이들 기업들은 연초 A씨가 중국 테마에서 강력하게 추천했던 종목이다.

A씨는 "일부 전문가들은 호텔신라나 롯데관광개발이 중국인 관광객을 대신해 다른 외국인 관광객들을 유치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들 종목의 경우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A씨는 가급적 화장품 업종 투자는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중국 현지 화장품 업체들의 경쟁력이 높아진 데다가, 한·중 갈등이 계속해서 주가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이 대표적인 사례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중국 매출 하락 등으로 지난 1분기 해외 사업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6.8% 감소한 3494억원, 영업이익은 36.9% 급감한 266억원을 기록했다.

그는 향후 중국 리오프닝 관련주들의 매도 리포트를 낼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없다"라고 단언했다. 불필요한 논란을 초래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A씨는 "정치적 이슈는 쉽게 예단하기 어렵지만, 개인적으로 판단했을 때는 이번 정권에서 소비주 중심의 중국 테마주가 긍정적으로 부각 받긴 힘들 것으로 본다"면서 "실적 등 숫자를 근거해서 접근하는 것을 추천하는데, 당장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의 실적이 눈에 띄게 개선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은혁 기자 ehry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