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이  '비레디' 리브랜딩 캠페인을 진행한다. 사진=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이 '비레디' 리브랜딩 캠페인을 진행한다. 사진=아모레퍼시픽
화장하는 남성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로 특히 색조 화장품 수요가 커졌다.

13일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남성 화장품 시장 규모는 1조1100억원 수준으로 확대됐다.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가 지난해 1월 29∼30일 20∼49세 남성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간한 '남성 그루밍 트렌드리포트 2022'에서도 남성들의 화장 트렌드를 엿볼 수 있다.

리포트에 따르면 남성들의 72%가 기초 화장품으로 피부 관리를 했다. 39.6%는 눈썹 관리를 했고, 손발톱을 관리하는 남성도 19%에 달했다. BB크림과 같은 색조 제품 이용 경험률은 20%로 나타났다.

화장이 남성 트렌드로 자리잡자 업계에서도 전용 제품 라인업을 잇단 출시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이 그 시작이었다. 아모레는 2019년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한 남성 메이크업 전문 브랜드 '비레디'를 출시했다. 화장품 대기업이 남성 전문 색조 브랜드를 내놓은 첫 사례다.

컨실러와 파우더, 섀도, 아이브로우 펜슬 등 제품 종류도 다양하다. 올해는 향수와 헤어라인으로 포트폴리오를 넓혔다.

비레디는 출시 이후 연평균 두 자릿수씩 성장했다. 지난달에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73%나 늘었다.

LG생활건강도 지난해 2월 더페이스샵을 통해 남성라인 '스피프코드'(SPIFFCODES)를 선보였다. 스피프코드에서는 피부관리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올인원 제품과 결점을 보정해주는 비비크림, 립밤 등을 내놓고 있다.

CJ올리브영에서도 남성 화장품의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올 들어 지난 8일까지 남성 화장품 매출은 46% 늘었는데, 특히 색조 화장품은 131%나 증가했다. 남자들은 립 메이크업 제품(166%)과 아이 메이크업 제품(48%) 등을 많이 찾았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