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전체 벼 재배면적의 1.5%…면적 감축 목표 5%에 못미쳐

경기지역 벼 재배 농가 가운데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로 하고 전략작물 직불금을 신청한 사례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 벼 대신 전략작물 재배 신청 883농가 1천92㏊ 불과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정부가 올해 처음 시행하는 '전략직물 직불제 사업' 신청 기간을 이달 10일까지 연장해 추가 접수를 한 결과, 도내에서는 모두 16개 시군, 883 농가에서 1천92.3㏊의 논에 전략작물을 심겠다고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경기도 전체 벼 재배면적(2022년 기준 7만3천648㏊)의 1.5%에 불과하다.

시군별로는 이천시 272.8㏊(172농가), 안성시 261.4㏊(192농가), 화성시 111.7㏊(69농가), 연천군 96.5㏊(108농가), 여주시 96.1㏊(69농가), 평택시 92.8㏊(66농가), 파주시 48.8㏊(61농가), 김포시 33.5㏊(28농가), 용인시 27.5㏊(34농가), 양평군 27.3㏊(41농가), 포천시 13.3㏊(14농가) 등이다.

재배작물별로는 콩 393.1㏊(382농가), 하계 조사료 181.6㏊(166농가), 동계 조사료·밀을 포함한 기타 517.6㏊(335농가) 순이다.

벼 재배 면적 축소와 쌀 적정 생산을 통한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올해 신설된 전략작물 직불금 제도는 논에 밀, 논콩, 가루쌀 등의 전략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에 쌀과 소득 차를 고려해 ha당 50만~480만원을 지급하는 제도다.

하지만 경기도의 경우 지역 여건상 전략작물 직불제 도입의 성과를 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전망대로 전불금 신청 실적이 벼 재배면적 축소 목표치(5%)에 미치지 못했다.

논콩은 전문생산단지보다 생산성이 떨어지고 가루쌀은 재배 여건이 맞지 않은 데다 경기미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라고 도는 추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