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속 비좁은 캡슐에서 수압 조절 없이 74일을 홀로 버틴 미국 교수가 최장 수중 생활 기록을 세웠다. 해당 교수는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미국 잠수팀으로 우리나라를 찾은 인물로 알려져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A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잠수 전문가이자 대학 부교수인 조셉 디투리는 플로리다주 해양 공원의 수심 30피트(약 9.1m) 깊이에 잠긴 캡슐에서 74일째 머물고 있다.

디투리가 생활 중인 캡슐은 2.7평(9㎡) 정도다. 침대, 변기, 책상 등을 갖췄고 바닷속을 내다볼 수 있는 창문이 달려있다.

디투리가 이 같은 도전에 뛰어든 것은 화성 탐사를 준비하는 우주 비행사 등이 필요로 할만한 정보를 찾겠다는 취지에서다. 또 인체가 극심한 압력에 장기간 노출될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함도 있다.


그는 캡슐 내부에서 전자레인지로 달걀, 연어 등을 조리해 먹고 매일 팔굽혀펴기 같은 운동을 한다고 전했다. 한 시간 가량의 낮잠도 자고 있다. 온라인 수업으로 2500여명의 대학생에게 생의학 강의를 진행하는 등 외부와의 소통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새 기록을 세운 데 멈추지 않고, 지난 3월 1일 바닷속으로 처음 들어갔을 당시 세운 목표인 100일간 수중 생활에 계속 도전하고 있다는 게 디투리의 설명이다.

다만 디투리는 바닷속 생활을 좋아한다면서도 한 가지 그리운 것은 "일출을 바라보던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AP 통신에 "물 밖에 있던 때 가장 그리운 것은 말 그대로 태양인데, 태양은 내 인생에 중요한 것"이라며 "보통 해벽 5시에 헬스장에 다녀와서 일출을 바라보곤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디투리의 '74일간의 기록'은 2014년 동일한 장소에서 다른 교수 2명이 함께 세운 73일 2시간 34분을 넘어선 최장 기록으로 알려졌다. 이 기록은 군인이 아닌 민간인이 수압 조절 장치 없이 지내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