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볼·사과' 뭐가 다르길래…챗GPT가 만들고 AI가 골랐다 [오정민의 유통한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통가, AI 전면에 내세운 마케팅 '봇물'

하이볼도 사과도…AI에게 물어봐
여름철 성수기를 앞두고 주류 경쟁이 한창인 편의점 업계에선 생성형 AI인 챗GPT가 만든 캔 하이볼이 등장했다. 챗GPT 기반 AI 챗봇 '아숙업'과 대화해 기획한 제품이다.신제품은 맛, 알코올 도수, 레시피, 디자인, 상품명, 가격 등 상품 기획 전 과정에 챗봇 서비스 '아숙업'이 활용된 제품이다. AI 스타트업(새싹기업) 업스테이지가 선보인 챗봇 아숙업은 지난 3월 카카오톡 채널과 이달 메신저 라인에 론칭했다.
개발진은 개발 초기 "맛있는 하이볼 레시피를 알려줘", "캔의 디자인은 어떻게 해야 할까" 등의 수많은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아 제품을 기획했다.

한구종 GS25 주류기획팀 상품기획자(MD)는 “전세계 최초로 AI가 기획한 주류 상품"이라며 "(편의점이 단순 소매점의 기능을 넘어) 트렌드를 만들어가는 소매 놀이터 같은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의미 부여했다.

5월은 저장된 부사 사과 품질이 점점 떨어지는 시기인 만큼 AI 선별 시스템을 활용해 선별한 사과 상품을 기획했다고 롯데마트는 소개했다. 앞서 지난해 6월 AI 선별 시스템을 적용한 머스크 멜론, 하미과, 천도복숭아 등을 선보인 데 이어 사과에도 적용한 것이다.

지난해 출시한 멜론의 경우 비파괴 당도 선별기로는 측정이 어려운 갈변과 과숙 등 내부 결함을 선별해 고객불만 건수를 2021년도 당시의 절반 수준으로 개선했다고 전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쏟아지는 유통업계의 다양한 이야기를 맛보기 좋게 한입거리로 잘라 담았습니다. 유용하게 맛보는 [오정민의 유통한입], 같이 한입 하실까요?